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맹성규 의원(민주·인천남동구갑) 의원은 27일 열린 농해수위 전체회의에서 일본 원전 오염수 영향 시뮬레이션을 일본 정부가 방류 세부 계획을 밝힌 이후에나 추진하겠다는 해양수산부에 “때늦은 시뮬레이션이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고 지적했다.
맹 의원은 지난해 10월26일 해양수산부 국정감사에서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류 시 확산 경로와 그 영향에 대한 시뮬레이션 수행이 필요하다”고 지적했고, 문성혁 장관은 “수행하겠다”고 답한 바 있다.
해수부는 현재 국내 기술로 개발한 방사능 예측모델을 활용해 오염수의 국내해역 유입 영향(소요시간, 농도 등)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이날 열린 국회 농해수위 전체회의에서 맹 의원이 국정감사에서 약속했던 시뮬레이션을 수행했는지 묻는 질문에 문 장관은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적 없으며, 수행할 의미가 없다”며 “일본이 구체적인 핵종, 농도, 양, 기간 등 해양방출 세부정도를 발표하면 그 때 가서 시뮬레이션 조사를 추진하겠다”고 답변했다.
이어 맹 의원이 “일본이 세부방류계획을 언제쯤 발표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문 장관은 “1년 6개월”이라고 답했다. 이는 국정감사 때 약속한 것과 정면으로 배치될 뿐 아니라 해양환경 및 수산물 안전 주무부처로서 책임있는 대응과는 거리가 있는 것이다.
맹 의원은 “일본 정부가 방류계획을 발표할 때까지 가만히 기다리겠다는 것이 국민 입장에서 납득이 되겠냐”며 “여러 상황을 가정해 돌린 시뮬레이션을 공개하고 국민께서 직접 판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이재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