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정부가 우리 정부의 고구려사 왜곡 시정 요구를 거부함으로써 양국간 갈등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여야는 8일 정부와 정치권, 학계의 총력 대응을 촉구했다.
열린우리당은 정부와 여야 정치권, 민간단체가 연대하고 남북한이 공동 대응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고, 한나라당은 당내에 `고구려사왜곡 대책특위'를 구성하는 한편 국회 차원의 특위 구성에 조속히 나서줄 것을 여당에 촉구했다.
◇열린우리당 =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및 시정요구 거부에 대해 항의의 목소리를 높이는 한편 정부와 정치권, 학계 등 민간부문의 연대와 남북한 공동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우리당은 일각에서 제기된 주중 대사 소환론은 한-중 외교관계를 극단적으로 냉각시키고 교역 등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하게 다뤄야 한다는 입장이다.
임종석 대변인은 "고구려사 왜곡 문제는 분명히 역사주권에 관한 문제이므로 강한 톤의 표현으로 항의하고 지속적으로 시정을 촉구하는 것이 당연하다"며"역사는 현실의 요구가 아니고 과거의 기록인데, 현재의 요구에 따라 과거 기록을 바꾼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임 대변인은 그러나 "대사 소환 등으로 가면 곧바로 외교 문제로 불거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중해야 할 것 같고,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중국과의 교역 등을 감안할 때 우리가 쓸 수 있는 수단이 제한돼있어 답답한 것은 사실"이라면서 "어쨌든 중국의 명백한 잘못에 대한 대응을 민간에만 맡겨둘 수는 없다"고 말했다.
장영달 의원은 "중국의 태도는 남북한이 스스로 통일을 이뤄서 한반도에 대한 자신들의 영향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데 따른 반응으로 보인다"면서 "역사문제는 남북이 공동 대처해야 하는데 북쪽은 북쪽대로 사정이 있는 만큼, 남쪽은 객관적 입장에서 강경한 입장을 취해 시정을 받아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 중국의 고구려사 역사왜곡 문제가 넓게 보면 국가 정체성과도 연관돼 있다고 판단,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대처모습을 과시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한나라당은 우선 9일 소속 의원 12명으로 당내 '고구려사 왜곡 대책특위'를 구성했다고 발표하면서 `선수'를 쳤다.
그러면서 여당이 국회특위 구성에 조속히 나서줄 것을 촉구하고 노무현 대통령도 국가원수로서 국민의 자존심과 정신을 지킨다는 비장한 각오로 직접 나서 달라고 주문했다.
당내 고구려사특위에는 외교.교육통으로 꼽히는 박진 박성범 박계동 이성권 김영숙 진수희 의원등 12명의 의원이 포함됐다.
한나라당은 향후 국회특위 구성 때 당내 특위위원 전원을 국회특위 위원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열린우리당(15명):한나라당(12명):비교섭단체(3명)의 비율로 특위위원을 배정하도록 요구하고 위원장도 자당이 맡아야 한다고 주장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 최구식 원내부대표는 이날 염창동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 문제가 워낙 중요하고 국민의 관심이 집중돼 있어 가급적 많은 인원이 참여, 충분히 의견을 수렴하는 식으로 접근하려고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