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당 대표 선거를 앞두고 후보들의 출마 선언이 이어지는 가운데 영남당 논란과 윤석열 전 검찰총장 영입, 경선 룰 등이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9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차기 당대표 경선 대진표가 윤곽을 드러내면서 국민의힘의 ‘영남 딜레마’를 둘러싼 고심이 커지고 있다.
오는 6월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에 영남 출신 인사가 선출될 경우 당 지도부가 모두 영남 출신으로 채워지게 돼 ‘도로 영남당’ 프레임에 갇히게 된다는 것이다.
현재 당권 도전에 나선 영남 주자로는 5선 주호영·조경태, 3선 조해진·윤영석 의원 등이다. 조해진·윤영석 의원은 출마선언을 마쳤고 주호영 의원은 이번주내 출마를 공식화할 예정이다.
비영남 주자는 수도권 4선 권영세·초선 김웅, 충청권의 유일한 당권 주자인 4선 홍문표 의원을 비롯해 원외에선 나경원 전 의원과 이준석 전 최고위원의 출마설이 거론되고 있다.
당 안팎에서 대선을 앞두고 당의 지지세를 확산시키려면 '투톱'을 영남과 비영남 출신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논리와 비영남권 당대표는 텃밭을 포기하는 것과 다름없다는 홀대론이 상충하고 있다.
홍문표 의원은 "정당의 기본 목적은 정권을 잡기 위한 것인데 영남정당으로는 어렵다는 것이 대다수 국민의 생각"이라며 "그렇다면 비영남 쪽에서 당대표가 나오는 것도 하나의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권영세 의원도 한 라디오에서 "지난번 총선 결과를 놓고 볼 때 수도권에서 거의 폭망 수준으로 졌지 않나. 그렇게 해서는 대선 승리를 할 수 없는 만큼 수도권에 우리가 좀 집중을 해야 된다"며 영남 당권주자들을 견제했다.
영남 주자들은 역차별을 들어 반발하고 있다. 윤영석 의원은 "수도권 대 영남, 초선 대 다선 등 소모적이고 대결적인 논쟁이 당의 혁신과 정권교체에는 아무런 도움이 안 된다. 지역주의를 말씀하는 분들은 분열주의자"라고 비난했고, 조경태 의원은 "영남 당대표 불가론을 거론하는 세력 자체가 지역주의를 조장해 나눠먹기식 정치를 강요하고 당원들의 선택권을 제한하겠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와함께 야권 대선후보 중 지지율 선두를 달리고 있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도 변수다. 차기 당 대표 입장에선 내년 대선을 앞두고 윤 전 총장을 영입해 최종적으로 야권 통합 후보 선출이라는 숙제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경선 룰 변경 문제도 ‘뜨거운 감자’다. 당원 투표 70%와 일반시민 여론조사 30%로 대표를 선출하는 현행 룰과 달리, 당원 비중을 50~60% 수준으로 낮추자는 주장이다.
그만큼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당대표를 뽑자는 의미이지만, "국민의 대표가 아닌 당원의 대표를 뽑는 룰을 유지해야 한다"는 반론도 만만찮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세 가지 키워드가 전당대회를 넘어 올가을 대선후보 경선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