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기지부는 16일 장애인에 대한 교육은 의무.무상교육으로 특수교육진흥법에 규정돼 있지만 경기지역의 많은 장애학생들이 교육에서 방치돼 공교육의 기회에서 소외되고 있다며 장애학생에 대한 교육체계를 전면 개편할 것을 촉구했다.
특히 전교조 경기지부는 경기도교육청에 대해 장애인교육 현안문제에 대한 질의서를 제출하고 장애인교육권쟁취를 위한 결의대회를 개최키로 했다.
전교조 경기지부에 따르면 도내에는 단 23개의 학교에서 3천519명의 장애학생 및 299명의 장애유아만 교육받고 있고 대부분 지역에서 장애유아를 위한 교육기관이 갖춰지지 않고 있다.
전교조 경기지부는 또 고등학교 학령의 장애학생은 867명이지만 다닐수 있는 학교가 부족하는 등 장애인교육이 열악하지만 도내 장애학생에 대한 제대로 된 실태자료조차 파악돼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에따라 전교조 경기지부는 장애인교육권쟁취 및 예산확보를 위해 17일 오후 도교육청 앞에서 결의대회를 개최키로 하는 한편 도교육청을 상대로 질의서를 제출했다.
질의 내용은 ▲전체예산 가운데 특수교육예산의 6% 확보여부 ▲일반학교 내 특수학급 설치비율 50%이상 확대 ▲특수교육 관련 교사 추가 배치 ▲특수교육운영위원회 운영 등이다.
전교조 경기지부 관계자는 "교육감이 바뀔때마다 장애인교육에 대한 거창한 계획들이 발표됐지만 실제 경기장애인교육은 열악하기만 하다"며 "법적으로 보장된 교육받을 권리로서 장애인교육에 대한 대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