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23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당분간 더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정 청장은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의 4차 대유행 정점 도달 시기 관련 질의에 대해 "전망하기 쉽지는 않지만, 정점을 찍고 급감할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고 9월까지는 유행이 완만하게 진행되고 (그 이후에) 완만하게 꺾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추석 전까지 (1차) 접종률을 70% 정도로 끌어 올리면서 전염을 차단하고 중증 진행을 같이 예방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정 청장은 다른 국가에 비해 국내 백신 접종률이 낮다는 국민의힘 백종헌 의원의 지적에는 "조금 늦은 상황"이라고 인정하면서 "50대 연령층이 9월에 집중적으로 접종하게 해서 10월까지는 2차 접종률 50%를 달성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정 청장은 이어 "다만 델타 변이가 유행하면서 전파력이 높아졌기 때문에 (집단)면역의 목표를 높이고 개인 방역이나 거리두기 등을 병행해 통제 가능한 수준으로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접종 완료자가 국내 인구의) 70%가 된다고 해도 30%의 미접종군이 남아 있고 영국, 이스라엘처럼 미접종군을 중심으로 한 유행이 생길 수 있어 기본적 역학이나 의료대응을 같이 준비하는 게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고위험군은 최대한 (접종률을) 90%까지는 높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정 청장은 코로나19 환자를 돌보는 보건의료인에게 노동 가치를 적절하게 보상할 필요가 있다는 민주당 김원이 의원의 의견에는 "위험한 의료행위에 대해서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 "예산 확보가 필요해서 재정당국과 협의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한편 정 청장은 작년 초 중국발(發) 입국자를 강력히 통제하지 않아 코로나19 상황이 악화됐다는 일부 대권 주자들의 주장에 대해서는 "(코로나19 유행) 초기 중국 입국자 통제도 진행했고 특별검역 절차로 유입을 최대한 억제했다"며 "당시에 입국을 차단했던 미국과 이탈리아도 큰 규모의 유행이 있어서 그런 평가는 타당하지 않다"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