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7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5인 이상 집합금지에 현장투표 비상…與 캠프 독려 고심

이재명측 "온라인투표로 전환" 이낙연측 "유불리 따른 흔들기"

 

오는 4일 충청권을 시작으로 막이 오르는 더불어민주당 경선 지역순회 투표를 앞두고 캠프마다 조직 가동에 비상이 걸렸다.

 

민주당 경선은 온라인 투표와 현장 투표로 나뉘어 진행된다.

 

선거인단 중 유선전화 신청자들과 대의원은 권역별 합동연설회가 이뤄지는 곳에 설치되는 현장 투표소에서 직접 투표해야 한다.

 

과거에는 경선 현장에서의 '세몰이'가 승부의 중요한 요소로 여겨져 각 후보 캠프에서 조직력을 총동원했다.

 

지지자들이 서로 회비를 걷어 버스를 대절해 현장으로 몰려가거나, 캠프의 비공식적인 이동 지원이 이뤄지기도 했다.

 

이 때문에 이른바 '버스떼기', '박스떼기' 논란도 심심찮게 벌어졌다.

 

그러나 올해는 코로나19 방역 지침상 5인 이상 집합이 금지되기 때문에 대규모 인원이 몰려다니는 풍경을 보기는 원천적으로 어렵다.

 

이 때문에 각 캠프는 밑바닥 조직력을 총동원해 자가용을 이용하거나 카풀 등을 활용해 현장을 찾을 것을 독려하고 있다.

 

그럼에도 현장 투표의 흥행에 물음표가 붙기도 한다.

 

합동 연설회장의 수용 인원도 제한되기 때문에, 현장을 찾더라도 지지하는 후보의 연설을 직접 볼 수 있다는 보장이 없어 투표를 포기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반면 현장 투표자들은 대부분 해당 후보의 열성 지지층인 만큼 어려움이 있어도 방문할 것이라는 반론도 있다.

 

온라인 투표 전환 여부를 둘러싸고 후보 사이에 신경전이 벌어지는 기류도 감지된다.

 

이재명 경기지사 캠프 관계자는 2일 통화에서 "현장 투표를 꼭 해야 하는지 의문인 만큼 온라인 투표로 전환하자고 당에 요청했으나 선관위에서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다만 "원외 지역위원장이나 현역 의원 수를 따져보면 조직력에서 밀리지 않는다"며 현장 투표를 강행하더라도 불리할 것은 없다고 덧붙였다.

 

정세균 전 총리 캠프 조승래 대변인도 전날 성명을 내고 "우선 충청권 1차 경선에 한해 대의원 현장 투표를 온라인 투표로 전환하자"고 공식 제안했다.

 

조 대변인은 통화에서 "충남의 경우 태안이나 안면도에서는 투표장소인 대전까지 2시간씩 걸리기도 한다"고 말했다.

 

반면 이낙연 전 대표 측은 이런 주장이 유불리에 따른 흔들기 아니냐고 의심하며 원칙대로 진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전 대표 캠프 고위 관계자는 "현장 투표를 안 할 거면 지역순회 경선은 의미가 없다"며 "무슨 의도가 있는지 모르겠으나 이제 와 그런 주장을 한다는 것은 꼼수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충청 대의원이 대략 1천500명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 시간적으로 분산돼서 방문하는 만큼 방역에도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