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미군기지 이전과 관련 지역 주민들이 이주대책 마련과 지역발전을 이유로 안성시 일대 500여만평을 평택시로 편입해야 한다고 주장해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평택시는 이 같은 주장에 대해 내부적으로 편입을 반기고 있어 자칫 양 지자체간 행정구역 분쟁으로 비화되고 있다.
2일 경기도와 평택·안성시에 따르면 평택시발전협의회는 주한미군 부지로 1천만평을 제공해 생계를 위협하고 지역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며 안성시 공도읍과 원곡면 일대 532만평을 평택시에 편입시킬 것을 도를 비롯해 14개 관계기관에 요구했다.
편입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어 평택시는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질 경우 편입요구를 수용하거나 설득할 수밖에 없어 분쟁도 불가피한 실정이다.
평택시 관계자는 "경부고속도로 중심으로 안성시 서쪽 공도읍 246만평과 원곡면 286만평에 거주하는 1만3천여명의 주민들은 대부분 평택으로 출퇴근하고 있다"며 "현행법상 대규모 지역의 행정구역 조정은 쉬운 일은 아니지만 평택시 편입은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안성시 측은 주한미군 이전에 따른 부지 제공을 이유로 토지를 편입시키려는 것은 무리한 요구라며, 지역 주민들을 위한다는 개발논리로만 행정구역을 쉽게 조정할 수 없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도는 행정구역 조정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양 지자체간 협의를 통해 행정구역 조정안을 마련한다면 정부에 건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편입분위기가 확산되자 경기도의회 황은성 의원은 2일 도의회 임시회에서 "평택 일부 주민들은 평택 미군기지 부지제공에 따른 개발용지 확보를 위해 행정구역 조정을 요구하고 있다"며 "이는 지역이기주의 발상으로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특히 황 의원은 지난 83년 공도면 소사리와 원곡면 용이리 등 4개 지역 502만평이 이미 평택에 편입된 바 있다며 평택발전협의회 요구를 일축했다.
평택발전협의회가 편입을 요구한 지역을 보면 공도읍 건천리 등 4개 지역 246만평(1만1천명)과 원곡면 외간천리 등 5개 지역 286만평(2천394명)으로 주택건설과 공장설립이 가능하다.
도 관계자는 "일부 주민들이 정부에서 마련한 생계대책을 받아들이지 않고 행정구역 편입을 주장하는 것은 무리한 요구"라며 "사실상 편입이 현실화될 가능성은 없기 때문에 추이를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황 의원은 평택 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행정구역 조정이 가시화될 경우 안성시와 공동으로 편입요구 저지 주민 서명운동에 돌입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