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 남동구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에서 지난 15일부터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뒤 23일 총 20여 명에 달하는 집단감염 사태로 번진 것은 허술한 방역예방 조치 때문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 21일 오전 남촌도매시장을 신규 집단감염지로 분류하고, 11일부터 20일까지 이 시장을 방문했던 시민들을 대상으로 주거지 보건소에서 감염 검사를 받아달라는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했다.
이번 확진자는 주로 야채동 상인들로, 이들은 새벽시간대 경매를 마친 뒤 판매동 지하 식당가에 모여 식사와 술을 마신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들과 접촉한 상인들이 주로 확진 판정을 받아 격리됐다.
이와 관련, 입주상인들은 "평소에도 상인들은 물론 방문객들의 코로나19 발열체크 및 QR코드 입력 등 감염 예방 조치가 허술해 확진자 발생은 지극히 당연할 수 밖에 없다"며 "관리소나 조합 측이 방송이나 문서상으로 형식적으로만 알려만주고 있을뿐 아무런 제한을 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현장 확인 결과 야채나 과일을 비롯, 판매동 입구를 비롯해 상점 어디에도 발열체크기가 설치된 곳은 없었으며, 심지어 마스크 착용에 대한 제제를 하는 관리자도 없는 상황이다. 관리소에서도 주기적인 방역소독을 본적이 없다고 상인들은 불만을 토했다.
이처럼 꼼꼼하지 못한 관리체계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불을 보듯 뻔한 상황에서 시민들의 불안감을 커지고 있는 가운데 시와 방역당국이 나서 강력한 방역조치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