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진국 청와대 민정수석이 아들 입사지원서 논란이 불거진 지 하루만에 사퇴했다. 김 수석은 “제 아들이 부적절한 처신을 한 것은 전적으로 제 책임”이라며 고개를 숙였다.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은 21일 “문제인 대통령이 김 수석의 사의를 수용했다”고 밝혔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공정성 시비로 큰 파장이 예상되는 만큼 청와대가 수습에 나서는 모양새다.
김 수석의 아들은 최근 여러 기업에 낸 입사지원서에 ‘아버지가 민정수석이다’라는 내용을 담아 제출한 사실이 언론 보도를 통해 알려졌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부적절한 처신이라며 비판이 일었다.
논란이 일자 김 수석은 이날 출근하자마자 사의를 표명했고, 문 대통령도 사의를 즉각 수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김 수석은 아들의 입사지원서 작성에 개입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김 수석도 청와대 춘추관에서 기자들에게 “아버지로서 부족함이 있었다”며 “무엇보다 국민들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을 깊이 사과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을 섬기는 공직자는 적어도 가족과 관련해 한 점의 오해나 의혹이 없어야 한다고 생각해 왔다”며 “조금이라도 부끄러운 점이 있다면 당연히 책임을 지는 것이 도리다. 그래서 저는 떠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비록 저는 떠나지만 문재인 정부의 정의와 공정을 향한 의지와 노력은 국민으로부터 온전하게 평가받기를 희망한다”며 “마지막까지 대통령의 곁을 지켜드리지 못해 송구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3월 임명된 김 수석은 이날 사퇴로 9개월 만에 청와대를 떠나게 됐다. 그동안 문재인 정부 청와대 민정수석실에서는 각종 논란으로 민정수석들이 조기에 사퇴하는 일이 반복돼 왔다.
초대 민정수석인 조국 전 수석은 2년 2개월 동안 자리를 지켰지만 후임인 김조원 전 수석은 2주택 보유로 논란이 일자 1년여 만에 교체됐다.
그 뒤를 이어 임명된 김종호 전 수석과 신현수 전 수석 역시 여권과 검찰의 갈등 국면에서 각각 4개월과 2개월 동안만 자리를 지켰다.
[ 경기신문 = 고태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