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문 괄약근 보존술을 받은 직장암 환자의 배변기능장애 후유증에 바이오피드백(생체되먹임) 치료가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대장항문외과 조현민‧계봉현‧유니나‧김건 교수와 은평성모병원 대장항문외과 김형진 교수팀은 괄약근 보존 직장암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임시 장루 유지기간 동안 바이오피드백의 시행 효과에 대한 전향적 무작위 배정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연구팀은 괄약근 보존 직장암 수술을 받은 환자를 임시장루를 유지 기간 동안 바이오피드백을 시행한 환자군(21명)과 그렇지 않은 환자군(23명)으로 나눠, 수술 12개월 후 변실금 점수(CCIS, 클리블랜드 클리닉 변실금 점수) 및 항문직장압력검사 등 배변기능을 평가했다. 케겔 운동은 환자군 모두에 동일하게 시행했다.
연구 결과, 바이오피드백 시행 환자군의 최대 직장 감각 역치 및 휴식기 평균 직장 압력의 변화의 폭이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군에 비해 보다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후 액체 변실금을 거의 항상 경험한다는 응답이 바이오피드백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군은 56.5%에 달한데 반해, 치료를 받은 환자군에서는 47.6%인 것으로 조사돼, 액체 변실금 예방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바이오피드백은 직장 내 압력이나 괄약근이 수축‧이완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생체신호를 모니터로 확인하면서, 환자 스스로 괄약근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학습하는 훈련 치료다. 비침습적이며, 부작용이 없고, 효과도 뛰어나다.
조현민 교수팀은 “괄약근 보존술 후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임시 장루 기간 동안 적극적인 바이오피드백 치료를 시행해,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배변기능장애를 예방 또는 최소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SCI급 국제학술지인 '임상의학저널'에 게재됐다.
[ 경기신문 = 정경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