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과 학생의 독서율·독서량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독서하기 어려운 이유로 성인은 일, 학생은 공부를 꼽았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황희)는 만 19세 이상 성인 6000명과 초(4학년 이상)·중·고등학생 3320명을 대상으로 ‘2021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1년간(2020. 9. 1.~2021. 8. 31.) 성인의 연간 종합 독서율은 47.5%, 연간 종합 독서량은 4.5권으로 2019년에 비해 각각 8.2%포인트, 3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0대 청년층의 독서율은 78.1%로 2019년에 비해 0.3%포인트 증가했고, 타 성인 연령층보다 높은 독서율과 많은 독서량을 보였다.
초·중·고교 학생의 경우 연간 종합독서율 91.4%, 연간 종합독서량 34.4권으로, 2019년과 비교해 독서율 0.7%포인트, 독서량은 6.6권 감소했다.
종이책 독서율은 성인 40.7%, 학생 87.4%로 2019년에 비해 각각 11.4%포인트, 3.3%포인트 낮아졌다.
반면 전자책 독서율은 성인 19%, 학생은 49.1%로 2019년보다 각각 2.5%포인트, 11.9%포인트 높아졌다. 특히 학생과 20대 청년층을 중심으로 증가 폭이 커져 전자책 이용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소리책(오디오북) 독서율은 성인 4.5%, 학생 14.3%로 2019년에 비해 성인은 1%포인트 증가했고, 학생은 4.4%포인트 하락했다.
성인은 독서하기 어려운 가장 큰 이유로 ‘일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26.5%)를, 이어 ‘다른 매체·콘텐츠 이용’(26.2%)을 꼽았다. 학생들은 ‘스마트폰, 텔레비전, 인터넷 게임 등을 이용해서’(23.7%)를 가장 큰 독서 장애 요인으로 답해, 매체 이용 다변화가 독서율 하락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영·유아부터 어르신까지 아우르는 생애주기별 독서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2022 청년 책의 해’, ‘2022 대한민국 독서대전’ 등과 연계한 독서문화 운동을 전개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정경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