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아주대병원, 피부 노화 세포 제거 이용한 미백 효과 세계 최초 입증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로 색소가 침착된 피부에 노화세포 제거를 통해 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아주대 의대 생화학교실 박태준 교수(박지희 연구원)와 피부과 강희영 교수는 광노화로 색소가 침착된 피부에 노화세포만 선별적으로 없애는 세놀리틱 약물(senolytic drug)인 ‘ABT263’을 이용해 피부 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세계 최초로 확인했다.

 

피부노화가 진행되면 진피조직의 섬유아세포(콜라겐을 만드는 세포)가 노화과정에 들어가며, 진피조직에 계속 쌓인다. 노화가 시작된 섬유아세포는 ‘SASPs(senescence-associated secretory phenotypes)’란 물질을 분비해 피부색소 침착과 피부기능 저하를 일으킨다.

 

연구팀은 노화세포 또는 이들이 분비하는 SASPs를 선택적으로 추적하는 약물을 이용해 피부노화를 지연시키는 연구를 진행했다. ABT263을 in vitro(동물·세포에서 DNA나 단백질만을 뽑아내서 사용) 또는 ex vivo(살아 있는 동물에서 추출한 세포 등) skin을 이용해 노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킨 결과, 피부색소 침착이 약 50% 정도 호전된 것을 확인했다.

 

박태준 교수는 “이번 연구로 색소침착에서 노화된 섬유아세포의 역할을 다시 한 번 규명할 수 있었으며, 세놀리틱 약물의 여러 효용성이 밝혀지고 있는 가운데 ‘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처음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피부과 분야 상위 JCR 5%이내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IF: 9.302, 영국 피부과 저널) 1월 온라인판에 ‘광노화 색소 침착에 대한 잠재적인 피부 미백 후보, 세놀리틱 약물 ABT263’이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 경기신문 = 정경아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