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도내 140만 1인 가구의 독립적 삶과 공동체의 삶을 동시에 존중하고 보호하기 위해 재무 경제 교육 및 개인 재무 상담 지원 등 17개 과제를 추진한다.
28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번 추진안은 ‘경기도 1인 가구의 사회친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연도별 세우는 시행 계획으로 ‘따로, 또, 같이 더불어 사는 나우리(나+우리) 공동체 구현’이라는 비전 아래 ▲총괄 ▲외로움․고립 극복 ▲혼밥 개선 소셜다이닝 ▲홀로서기 지원 ▲건강지원 ▲안전 생활환경 조성 ▲웰다잉 지원 등 7개 분야 17개 과제로 구성됐다.
우선 신규 사업으로 재무경제 교육 및 개인 재무상담 지원을 추진한다. 청년부터 노인까지 생애주기별 맞춤형 재무‧경제 프로그램을 운영해 종잣돈, 주택자금, 노후자금 등을 준비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교육과 상담을 연계하는 내용이다.
도는 상반기 사업 수행 기관을 선정할 계획이다. 1인 가구는 사업 수행기관을 통해 무료로 재무‧경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지속추진 사업으로는 1인가구의 외로움·고립 극복을 위해 청년 전용 커뮤니티를 조성하고 맞춤형 프로그램을 지원해 사회적 관계망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중장년 1인 가구 대상으로 관심분야 동아리 활동,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취약 1인가구를 대상으로 반려동물 의료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1인 가구 혼밥 개선을 위한 소셜다이닝 사업도 적극 추진한다. 1인가구의 어려움 가운데 하나인 ‘혼밥’ 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사회적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마을 공동부엌, 식생활 개선 프로그램을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행복주택 입주자를 대상으로 저렴하고 품질이 좋은 공동급식을 제공하는 ‘삼시세끼’ 행복나눔터를 운영한다.
1인 가구의 독립적 삶을 존중하며 혼자 살아가는 데 필요한 생활 노하우로 이루어진 ‘혼(자) 라이프 꿀팀’ 교육을 시행하고 1인 가구의 건강을 위해 중장년을 대상으로 주 1~2회 전화 심리 상담을 통해 정서지원 및 안전을 확인하고, 연령대별 맞춤형 건강 돌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도는 이 같은 1인 가구 지원 정책 추진을 위해 총 1,292억 원을 편성했다. 이 중 정책사업비는 51억 원, 주거지원 사업비는 1241억 원이다.
지주연 도 여성가족국장은 “고령화나 사회·경제적 이유로 2020년 도내 전체 509만 가구 중 1인 가구가 140만 가구(27.6%)다. 1인 가구 비중은 2016년 23.8%에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며 “1인 가구는 더 이상 낯선 대상이 아니라 다양한 가구 중 대표적인 가구 형태다. 이들이 혼자 사는 데 불편하지 않도록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김혜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