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강상헌의 심우도] 당선자(者)와 당선인(人)-명칭과 그 가치

 

사람을 이르는 문자는 많지 않다. 인(人)과 자(者)가 일반적이다. 서예가 음악가 등의 가(家)나 공자 맹자(孟子) 등의 子가 특별한 칭호(稱號)다. 무뢰한 치한 등 ‘문제적 인물’을 이르는 한(漢)도 있다. ‘어떤 사람’이라는 뜻을 이루는 접미사다.

 

이 중 家는 전문직이나 어떤 분야에 능(能)한 사람이다. 재산가처럼 뭘 많이 가진 이를 이르기도 한다.

 

子는 공부자(孔夫子)처럼 공자와 같은 큰 학자를 스승으로 높여 부르는 이름이다. 공자의 원래 이름은 구(丘)다. 자작(子爵)처럼 봉건시대 귀족 칭호이기도 하다.

 

이런 이름들은 중국 역사의 여러 모습을 반영한다. 한 중 일 3국이 일정 부분 공유하는 이미지이기도 하다.

 

당선자와 당선인, 두 이름을 두고 언론의 보도가 설왕설래한다. 헌법에는 ‘당선자’지만 者의 훈(訓 뜻)이 ‘놈’이라서 (느낌 나쁘니) ‘자’ 말고 사람 인(人)의 ‘인’을 써달라고 했다는 게 이명박 당선자 시절의 얘기다.

 

언론은 권력에 휘감긴다. 언론에서 금세 ‘당선자’가 ‘당선인’으로 변하고 있다. 승리한 쪽 캠프에서 언론에 ‘마사지’를 했을 법도 하다.

 

어떤 매체는 한 교수의 발언을 앞세워 ‘헌법에 적힌 대로 당선자로 하자’고 했다. 자(者)와 인(人), 뭐가 어떻게 다른데?

 

者, 원래 상형(그림)은 콩을 솥에 삶는 모습이라 본다. 윗부분(콩 붙은 가지)은 늙을 耂(노), 솥은 가로 왈(曰)의 기호(글자)를 얻었고, 뜻은 변해 ‘어떤 사람’이나 ‘어떤 것’이 됐다. 원래의 ‘삶는다’는 뜻은 者에 불 화(灬, 火와 동자)자 달고 삶을 자(煮)자로 분화(分化)했다.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의 農者는, 사람들 혼동하듯 ‘농사짓는 놈’이 아니고 ‘농사라는 것’이다. 또 중요한 점, 者가 사람의 칭호로 쓰일 때 우리가 아는 ‘놈’과 같은 비하(卑下)의 뜻이 원래는 없다.

 

人, ‘사람과 사람이 기대고 섰다.’는 엉터리 해설 때문에 여태 오해 많다. 어원(語源)엔 그런 멋진 뜻 없다. 그냥 ‘사람’이다. 절하듯 팔 다소곳이 내려뜨린 사람 옆모습이 갑골문 人이다.

 

사람의 본디는 귀한 것이면서, 인간사 명상의 주제다. 사람이라는 보편적 의미 때문에 되레 큰 뜻이 되는 사람 人 글자에 주목한다. 허나 존경의 칭호는 아니다.

 

人이나 者, 쓰임새는 거기서 거기다. 필자의 칭호였던 기자(記者)는 ‘쓰는 사람’이기도 ‘쓰는 놈’이기도 하다. 인자(仁者)나 현자(賢者)란 말도 있는데 者를 왜 ‘놈’이라고 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사람 같으면 놈이라 안 하고, 놈 같으면 사람이라 안 한다. 농담 투 얘기다.

 

싱겁지만, 者나 人이나 ‘인’이나 ‘자’나 다만 기분문제라고 본다. ‘헷갈리면 본디를 보자.’는 의미를 실감하는 기회로 보람 삼자.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