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상회 수원특례시발전연구소장(전 청와대 행정관이)이 “스마트시티 구축은 무조건적인 기술의 수용이 아닌 도시의 특색에 맞춰야한다”고 밝혔다.
김 소장은 24일 경기도의회가 개최한 ‘스마트시티 모빌리티를 고려한 가로공간의 재편’ 학술컨퍼런스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소장은 앞서 더불어민주당 소속 수원특례시장 선거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김 소장은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지자체의 우선순위는 수원시의 현안이 되어야 한다”며 “구도심 지역 여러 곳이 재개발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스마트시티 구축과 지자체의 역할에 대해 고민해 봐야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발표를 맡은 김승남 중앙대학교 도시시스템공학 교수는 “기술신뢰 강화를 위해 공공에서 제도적으로 나서 줘야 한다”며 “작은 실험을 통해 지자체 기본계획수립단계에서부터 도입해야한다”고 말했다.
김강식 경기도의원도 “기술발전의 접목은 산업적 측면과 인적자원 고용측면에서도 생각해봐야 할 문제”라며 “급변하는 첨단기술 속에 소외될 우려가 있는 계층을 위한 시스템 역시 고민해 봐야한다”고 강조했다.
김 소장은 “앞으로 수원시의 내일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모여 고민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