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피부노화 주범은 섬유아세포 아닌 멜라닌세포

아주대병원 강희영 교수팀 연구 결과

 

그동안 피부노화의 주범은 피부 신축성을 유지하는 단백질인 콜라겐을 만들어 내는 섬유아세포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피부노화의 주범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새롭게 밝혀졌다.

 

아주대병원 피부과 강희영 교수팀(아주대 의대 생화학교실 박태준 교수, 김태형 전공의)은 피부노화의 주범이 섬유아세포가 아닌 멜라닌세포(색소세포)이며, 노화를 늦추거나 멈추기 위해서는 멜라닌세포의 노화를 막아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멜라닌세포는 기미, 주근깨, 검버섯 등 색소질환을 일으키는 멜라닌색소를 만드는 세포다.

 

연구팀은 전 연령대에 걸친 총 70명의 피부에서 노화피부세포 비율을 분석했다.

 

그 결과 10대부터 섬유아세포의 노화가 시작되고, 점진적으로 진행돼 대부분의 연령층에서 섬유아세포 노화가 나타났다. 반면, 멜라닌세포의 노화는 40대 후반부터 시작돼 60대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노화된 멜라닌 세포수가 증가할수록 다른 피부노화 세포수도 함께 증가한다는 것이 관찰됐다. 연구진은 멜라닌세포 노화가 피부노화 전파자로 피부노화 가속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피부가 섬유아세포에서 멜라닌세포 순으로 노화가 시작되며, 중년 이후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피부 노화의 주범이 멜라닌세포의 노화임을 확인했다. 이에 피부노화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는 멜라닌세포가 치료 타깃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강희영 교수는 “오래전부터 피부노화를 늦추기 위해 많은 시도가 이뤄져 왔다”면서 “이번 연구에서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피부노화의 중요한 새로운 원인을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가 앞으로 더욱 효과적인 피부노화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국책연구과제를 통해 멜라닌세포 노화 제어 전략을 통한 새로운 항노화 물질 연구 등에 주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논문은 지난 2월 피부과 기초연구분야 최고 권위의 저널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인용지수: 8.55)’ 온라인판에 ‘나이에 따른 노화피부세포의 순차적 증가’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 경기신문 = 정경아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