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부터 화물연대의 인천항 총파업 예고로 인천항 물류수송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6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비상수송대책 본부를 구성해 물류차질 방지를 위한 신속 대응체계를 가동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인천항 등 주요 항만과 주요 물류기지 등을 대상으로 비상수송대책을 수립해 물류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이에 앞서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은 지난 3일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인한 피해 최소화 방안 찾기에 나섰다.
인천시·인천항만공사·컨부두 운영사·선박해운사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은 임시 컨테이너 장치장 확보, 비상시 야드트랙터의 임시 도로허가증 발급, 군 위탁 차량의 지원 방안 등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했다.
화물연대는 지난달 28일 서울 도심에서 총파업 결의대회를 갖고 7일 0시 부로 총파업을 예고한 바 있다.
앞서 화물연대 인천지부는 올해 말 종료되는 안전운임제 일몰제의 폐지, 안전운임제의 전 차종 확대, 운송료 인상 등을 요구하며 지난달 24일 인천항 컨테이너 부두 일원에서 집회에 돌입했다.
이번 파업에 따라 인천항 물류에 큰 차질이 우려되는 가운데 인천해수청은 인천시, 인천항만공사 등과 긴밀한 협조로 항만 정상운영을 위해 대응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심상철 인천해수청 항만물류과장은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해 화물차 통행이 어려울 경우를 대비해 대체운송 수단을 확보할 것이다"며 "이와 함게 임시장치장 확보 등 항만 물류에 차질이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