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교사들이 이견을 좁히지 못한 무책임한 도의회를 규탄하고 나섰다.
경기교사노동조합은 26일 성명서를 통해 “도의회 의원들로 학교 공동체와 도민이 피해를 입을 것”며 “도민의 기대에 부응하고 원구성에 합의해 경기교육을 위해 힘쓸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11대 도의회는 여‧야 원구성 협상에 이견을 좁히지 못해 지난 25일 마지막 본회의를 무산시켰다. 이에 전국 17개 시‧도의회 중 유일하게 의장단을 선출하지 못하게 됐다.
도의회는 지난 12일 제1차 본회의를 개의 5분 만에 정회했다. 의장 선출방식‧상임위원회 증설 등을 놓고 협상을 진행했지만 여‧야간 이견을 번번이 좁히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교육 예산 측정에 불똥이 튀면서 도내 교육 구성원들은 도의회 파행에 따른 피해를 받게 될 전망이다.
황유진 경기교사노조 대변인은 “도의회가 예산을 심의하고 집행해야 하는데 협상 결렬이 장기화 될 경우 경기 교육에 악영향이 갈 수밖에 없다”며 “원 구성도 못하는 현 상황에서 도교육청이 내년 예산을 계획하는데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어 “도의회의 파행으로 도가 마련한 1조4387억원 규모의 추경 예산안, 코로나19 지원사업, 도교육청의 각종 정책 등도 무기한 대기 상태에 놓이게 됐다”고 설명했다.
가장 큰 문제는 임태희 교육감의 대표 정책인 아침급식이다. 아침급식은 식품비·운영비·인건비를 더해 모두 6838억 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중 50%를 도가 담당하는 만큼 정책 진행은 순조롭지 못할 전망이다.
경기도교육감직인수위 관계자는 “도의회 의원들이 팽팽하게 힘 겨루는 상황이지만 의회의 문제인 만큼 적극적으로 개입하기는 힘든 상황”이라며 “현 상황이 계속 지속된다면 여‧야 대표단을 만나 소통의 장을 주최해 볼 예정이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정창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