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의회 국민의힘 정상화 추진단이 자중하라는 도당의 경고에도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고 자당 대표의 사퇴를 재차 촉구했다.
유의동 도당위원장이 내부 갈등 진화를 위해 전날 오찬을 열고 중재에 나섰음에도 곽미숙 대표의 불신임안이 지난 18일 의원총회에서 가결됐으니 사퇴해야 마땅하다는 것이다.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은 허원(이천2) 의원은 24일 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부로 정상화 추진단을 해체하고 대표 불신임안 이행을 통한 정상화를 위해 비상대책위원회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앞으로 곽 대표 사퇴 요구와 불신임안 가결로 발생한 현사태를 해결하고 국민의힘 정상화를 위해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곽 대표의 불신임 건 가결에 따라 김정영 수석부대표에 차기 대표 선출을 위한 의총 소집을 요구했으나 어떠한 조치도 없었기에 비대위를 구성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비대위는 정상화 추진단장이었던 방성환(성남5) 의원을 비롯해 허 비대위원장, 김호겸(수원5), 백현종(구리1), 이제영(성남8), 김시용(김포3), 이애형(수원10), 김규창(여주2) 의원 등 총 8명이다.
이들은 이날 ▲곽 대표 불신임안 가결 및 책임 ▲차기 당 대표 선거 불출마 ▲제명 등 징계 공동 대응 ▲국민의힘 소속 재‧3선 의원 사전협의 공식 제안 등을 약속했다.
특히 차기 당 대표 선거 불출마는 비대위가 주장하는 자당 대표의 사퇴 요구가 자칫 자리싸움으로 비춰질 수 있다는 우려를 의식해 이를 사전 차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허 비대위원장은 “이번 사태에 대해 도민들께 사죄드린다”며 “국민의힘 중앙당, 경기도당과 소통면서 조속한 시일 내에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이어지는 질의응답에서 불신임안 가결과 관련한 당헌‧당규에 대해 방성환 의원은 “대표의원을 선출할 당시에도 원내대표 선출 규정을 따랐으니 재신임도 원내대표 규정을 가져올 수 있다”며 “당헌‧당규에 따라 과정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유 도당위원장의 경고메시지에 대해서는 “도의회가 정상화 되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겠다”며 답변을 피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과 관련해 도당 관계자는 “최악의 경우 비대위뿐 아니라 당헌‧당규에 위반됐다고 판단하는 분들은 징계가 갈 수 있다”며 “도당은 정치적 해결을 위해 끝까지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 경기신문 = 허수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