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김영진 “방향제 등 불법 생활화학제품 적발 역대 최대…2015년 9배”

2015년 84건에서 2021년 767건 증가
방향제·향초 등 표시기준 위반 제품도 17배 ↑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영진(민주·수원병) 의원은 19일 안전기준이나 표시기준 위반으로 적발되는 방향제·탈취제 등 생활화학제품이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이 환경부에서 받은 생활화학제품 39종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환경부는 지난해 1만 7179개 제품을 조사해 안전기준·표시기준 위반 제품 767개를 적발, 유통차단 등 행정처분을 했다.

 

적발된 안전·표시기준 위반 제품은 2015년 84건, 2016년 108건, 2017 114건, 2018 232건, 2019년 456건, 2020년 543건 등 증가 추세다.

 

환경부가 조사한 제품 수는 2015년 1만 5525건, 2016년 1만 5637건, 2017년 1만 3011건, 2018년 1만 1770건, 2019년 1만 2397건, 2020년 1만 3313건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환경부 조사 제품 수가 들락날락하는 것은 기존 모니터링 대상에 민원 신고 제보 처리가 더해지기 때문”이라며 “시장 감시나 안정성 조사는 지속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조사 제품 수 대비 적발 제품 수는 제도가 처음 시행된 2015년 0.54%에서 2021년 4.46%로 증가했다.

 

조사 대상 품목에는 세정제, 방향제, 자동차용 워셔액, 섬유유연제, 광택 코팅제, 녹 방지제, 목제용 보전제, 문신용 염료 등이 포함됐다.

 

특히 방향제와 향초 등을 포함한 초 안전·표시기준 위반 제품은 작년 321개와 210개로 2015년(각각 12개)에 견줘 26배·17배 증가했다.

 

김 의원은 “향 제품 수요가 많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불법 제품으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