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 안전한 경기도를 만들어서 도민들께 힘이 되는 의원이 되고 싶어요.”
제11대 경기도의회로 첫 의정활동을 시작한 유경현(민주‧부천7) 의원. 유 의원은 정치 입문 전 물류회사에 근무하면서 반복적인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고민했다.
모두가 멈칫하는 궂은일에 먼저 나섰고, 업무 환경 개선과 직원 처우 개선에 앞장서면서 당시 침체 산업이었던 업계에서 놀라운 성과를 이뤄냈다.
특히 직장 내 노동환경 개선을 위해 힘쓰던 그는 자신에게도 밀어닥친 임금 체불 등의 부조리를 목격하고 이러한 직접 불평등과 맞서 싸우기 위해 정치계로 발을 들였다.
의원 보좌진을 시작으로 정치를 시작한 유 의원은 10년간 어깨너머로 배운 정치력을 바탕으로 ‘주민과 함께 걷는 평등하고 젊은 정치’를 마음에 새기고 의정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때문에 유 의원은 도내 소외계층 및 노동자 등 부조리를 겪는 도민들에게 항상 귀를 기울이며 주민과 가까운, 따듯한 정치를 몸소 보여준다.
유 의원은 “우리 사회는 강자들이 있다. 그들이 불합리한 대우를 하는 모습을 볼 수가 없다”며 “개인적인 가치관일 수 있지만 노동자나 장애를 가지신 분들이 부당한 처우를 당하면 가만히 있을 수 없다”고 전했다.
도의회 전반기에 안전행정위원회를 1순위로 지원한 것도 그 이유다. 경찰관, 소방관들의 처우 개선과 안전의 사각지대에 놓인 약자들을 보살피기 위함인 것이다.
유 의원은 “안행위는 주민들이 경기도를 실감하는 최전선 상임위”라며 “안전 분야에서 만큼은 도청이 숨어있는 영웅인 경찰관, 소방관들의 업무 효율을 높이고 처우를 개선하도록 지속적으로 목소리를 내야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래야 도민들과 안전 업무 종사자가 더 안전하기 때문”이라며 “지역 내 스스로 위협으로부터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약자들에 대한 시선도 더 집중해서 들여다 봐야한다”고 말했다.
유 의원은 또 “행정분야에서는 도 소속 공무원의 업무역량 향상을 위한 인재개발부터 도 균형발전, 도민의 인권, 도내 경제질서의 공정함 등을 다루는 부서들을 소관하고 있다”며 “소관 부서의 업무가 도민들의 실질적 삶의 질 향상을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10‧29 참사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사고 재발 방지와 사전 예방도 중요하지만 사고 발생 직후 시민들의 대처 역량을 키우는 게 우선이라는 것이 유 의원의 견해다.
유 의원은 “참사를 예방하기 위해 골든타임을 놓친 것이 아쉽다. 참사 몇시간 전부터 압사 위험을 걱정하는 신고가 여러 건 접수됐지만 상황이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행정적인 신고 종결만 이뤄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고 발생 직후 시민들의 대처 역량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며 “심정지로 인한 사망 혹은 후유증을 막기 위한 CPR 등 응급처치 교육이 각 교육기관과 관공서 등에 학대될 수 있도록 살펴볼 것”이라고 약속했다.
[ 경기신문 = 허수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