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노총 공공운수노동조합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 총파업이 나흘째 접어들면서 전국 산업현장의 피해 조짐이 드러나고 있다.
이르면 28일 화물연대와 국토부가 교섭에 나서는데, 정부가 업무개시명령이라는 초강수를 내놓은 상태라 협상에 난항이 예상된다.
화물연대는 지난 24일부터 전국 각지에서 무기한 총파업을 진행하고 있다. 전국 주요 항만·산업단지 등 50여 개 거점에서 2만 5000여 명이 참여하고 있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안전운임 품목 확대를 요구하고 있지만 정부는 제도를 3년 연장 유지하더라도, 품목 확대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서로의 요구가 평행선을 유지하면서 협상이 지연되자 산업계는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총파업 첫날부터 벌크시멘트 트레일러 운행이 멈추면서 시멘트 운송에 차질이 발생했다.
한국시멘트협회는 화물연대 파업으로 실제 시멘트 출하량이 9% 수준인 9000톤에 불과하다며 사흘간(26일 기준) 464억 원의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했다.
레미콘 업계는 오는 29일부터 전국적으로 생산이 중단될 것으로 예상했다.
현대제철, 포스코 등 주요 철강업체들은 제품 출하가 막혀 하루 평균 내보내던 5만 톤의 물량을 출하하지 못하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11월 출하계획 중 47%의 물량만 출하됐다.
주유업계는 유조차 운전기사 70%가 화물연대 소속인 만큼 이번 주부터 휘발유‧경유 수급에 난항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부는 화물연대와 오는 2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교섭을 진행할 방침이다.
하지만 정부는 줄곧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라 교섭은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정부는 교섭이 결렬될 경우 29일부터 피해가 큰 업종에 대해 선별적으로 업무개시명령을 내리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화물연대는 “대화도 전에 엄포부터 놓는다”며 반발하고 있어 강 대 강 대치는 계속될 것으로 우려된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