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경기 광역버스 33개 노선의 출퇴근 시간대 운행횟수가 내년 초부터 순차적으로 늘어난다. 운행횟수는 88회 이상 확대되며, 최대 4000여 석이 추가된다.
국토교통부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는 ‘수도권 광역버스 입석 대응 협의체’를 개최하고 서울시·경기도와 광역버스 추가 증차에 최종 합의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증차 합의로 광역버스 33개 노선의 출퇴근 시간대 운행 횟수가 88회 이상 확대된다. 이에 따라 최대 4000명의 승객들이 추가로 탑승할 수 있게 된다. 투입하는 버스는 전세버스 28대, 정규버스 30대 등 총 58대다. 노선별 추가 증차는 수도권 광역버스 입석 중단에 따른 혼잡 상황과 신도시 광역교통 개선을 위한 전담조직(TF) 및 주민 간담회 의견 등을 반영해 결정했다.
고양·남양주 등 경기 북부지역 12개 노선의 출퇴근 시간대 운행 횟수는 38회 확대된다. 출근 21회, 퇴근 17회씩 늘려 1700여 석의 좌석을 추가 공급한다. 용인·화성 등 경기 남부지역 23개 노선은 출퇴근 시간대 운행 횟수는 출근 26회, 퇴근 24회씩 50회를 확대해 공급 좌석 수를 2300여 석 늘린다.
앞서 대광위와 수도권 지자체는 출퇴근 시간대 광역버스 운행 횟수를 482회 확대하는 1·2차 광역버스 입석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8월부터 11월 현재까지 총 337회를 확대했다.
입석 대책 중 아직 완료하지 않은 145회와 이번에 합의된 88회까지 더해 내년 초까지 출퇴근 시간대 운행 횟수는 233회 추가 확대된다. 전세버스는 내년 1월부터 즉시 투입하고, 정규버스는 차량 제작 기간 및 개학시기 등을 고려해 늦어도 3월 초부터는 운행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또 이달 말부터 용인시(5002번)11대를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등 대용량 2층 전기버스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김영국 대광위 광역교통정책국장은 “광역버스 공급이 조속히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한편, 불편이 지속되는 노선은 추가 증차나 2층 전기버스를 투입해 공급을 확대하는 등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백성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