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찰이 화천대유자산관리 대주주 김만배 씨가 법조계를 상대로 한 로비 및 청탁 의혹의 실체를 규명할 방침이다.
지난 12일 정영학 회계사의 녹취록이 공개되면서 김 씨가 법조계를 상대로 한 로비 및 청탁 의혹이 재조명되고 있다.
검찰은 대장동 의혹 수사를 마무리하는 대로 ‘50억 클럽’ 등 법조계와 언론계를 상대로 한 로비 의혹 수사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녹취록에서 ‘50억 클럽’으로 거론된 인물은 박영수 전 특별검사, 곽상도 전 국민의힘 의원, 김수남 전 검찰총장, 최재경 전 청와대 민정수석, 권순일 전 대법관, 홍선근 머니투데이 미디어그룹 회장으로 홍 회장을 제외하면 모두 법조계 인사들이다.
박 전 특검은 2015년 화천대유 설립 당시부터 2016년 말 국정농단 수사 특검으로 임명될 때까지 고문 변호사로 일하며 연 2억 원의 고문료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의 딸은 화천대유 직원으로 근무하는 동안 약 11억 원을 회사에서 대출금 명목으로 받고, 지난해 6월 화천대유가 분양한 아파트 1채를 시세 절반 가격으로 분양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권 전 대법관은 퇴임 두 달 뒤인 2020년 11월부터 화천대유 고문 자격으로 월급 1500만원을 받았다.
앞서 퇴임 두 달 전인 2020년 7월 당시 경기도지사였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무죄 취지 의견 편에 선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김 씨가 여러 번 권 전 대법관 사무실을 방문한 사실이 드러나 ‘재판거래’ 의혹이 제기됐다.
김 전 총장은 수원지검장으로 재직하던 2012년, 최윤길 전 성남시의장 사건 관련 청탁을 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남욱 변호사는 최근 재판에서 ‘2012년 당시 수원지검장이던 김 전 총장에게 대장동 사업을 함께 하는 최 전 의장의 뇌물수수 사건을 잘 봐달라고 얘기했다’고 김 씨에게 들었다는 취지로 증언했다.
검찰 관계자는 “대장동 사건 자체에 집중하고 있다”며 “향후 사안의 성격, 수사의 효율성을 고려해 계획을 수립한 뒤 드러난 의혹 전반을 차질 없이 진상규명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