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천대유자산관리 대주주 김만배 씨가 석방 86일 만에 다시 구속되면서 ‘대장동 개발 의혹’ 관련 혐의 조사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서울중앙지법 김정민 영장 전담 부장판사는 김 씨의 구속전피의자심문을 연 뒤 지난 18일 “범죄 태양과 특성, 피의자와 관련자들의 관계에 비춰 증거인멸 및 도망의 우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검찰은 구속영장을 청구하면서 김 씨가 지난해 12월 14일 극단적 선택을 한 것처럼, 돌발 행동을 다시 할 우려와 증거 인멸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은닉한 범죄수익이 각종 로비에 사용된 정황에 대해서도 집중 추궁할 방침이다.
김 씨는 2021년 10월부터 지난해까지 대장동 개발 사업으로 거둔 340억 원 범죄수익을 수표로 찾아 차명 오피스텔, 대여금고 등에 은닉한 혐의를 받는다.
또 지난해 동창인 박모 씨에게 142억 상당의 수표를 숨기게 한 증거은닉교사 혐의와, 대장동 개발 의혹 관련 증거가 담긴 휴대전화를 천화동인 1호 소유의 ‘타운하우스’ 인테리어 업자를 통해 불태우게 한 증거인멸교사 혐의도 있다.
그는 사업에 필요한 자금의 압류를 피하려 한 것일 뿐, 자금세탁·은닉 목적이 없었다고 해명했으나, 검찰은 은닉한 수익이 각종 로비에 쓰였을 것으로 판단한다.
이 가운데 곽상도 전 의원 등이 관련된 이른바 ‘50억 클럽’에 대한 수사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지난 8일 50억 클럽 관련 첫 재판에서 곽 전 의원이 무죄를 받은 만큼 해당 범죄수익이 로비로 쓰였을 개연성을 파악하는 등 실체를 규명하기 위해 집중 추궁할 계획이다.
대장동 개발 비리의 핵심인 천화동인 1호 실소유주에 대한 의혹도 수사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김 씨가 대장동 개발 사업 과정서 민간사업자들의 편의를 봐주는 대가로 당시 성남시장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천화동인 1호 지분 24.5%(428억 원)를 약속했다고 보고 있다.
검찰이 이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하면서 적시한 배임 혐의와 관련, 이 대표 기소에 필요한 증거를 위해 이 대표 개입 여부 등에 대한 진술을 끌어내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