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23일 ‘대북송금’ 혐의를 받고 있는 김성태 전 쌍방울 그룹 회장에 대한 첫 공판이 진행된다.
수원지법 형사11부(신진우 부장판사)는 이날 오전 10시 외국환거래법 위반, 자본시장법 위반, 배임·횡령, 정치자금법 위반 및 뇌물 공여, 증거인멸 교사 등 혐의를 받는 김 전 회장의 첫 공판준비기일을 진행할 방침이다.
김 전 회장이 공판준비기일에 출석할 지에 대한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공판준비기일은 심리계획 등을 정리하는 절차로 피고인의 법정 출석 의무가 없는 만큼 출석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김 전 회장은 2019년 대북사업을 추진하면서 총 800만 달러를 중국으로 밀반출한 다음 북한에 전달한 혐의를 받는다.
그는 대북송금 의혹과 관련해선 혐의 대부분을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북송금 금액 중 북한 스마트팜 지원 사업비 500만 달러는 이화영 전 경기도평화부지사의 요구로, 나머지 300만 달러는 당시 경기도지사였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방북을 위해 전달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면서 “이 전 부지사가 전화를 바꿔줘 3차례 이 대표와 통화를 했다”며 이 대표가 자신에게 “고맙다”고 했다고 검찰에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김 전 회장의 진술에 대해 이 전 부지사와 이 대표는 줄곧 혐의를 부인했다.
그는 지난 2일 가족과 변호사에게 편지를 보내 “쌍방울의 대북송금이 경기도와 이재명을 위해 행해진 것처럼 프레임이 만들어지고 있다”며 ‘완전 허구’라고 주장했다.
이 대표도 “저를 공격하는 쪽의 말 같지 않은 소설들”이라며 해당 의혹에 대해 완강히 부인했다.
김 전 회장은 모르쇠로 일관하는 이 대표와 이전 부지사에게 배신감을 느끼고 억울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로 도피했던 김 전 회장의 ‘금고지기’인 김모 전 쌍방울 재경총괄본부장이 지난 11일 귀국한 것도, 대북송금 혐의를 부인하는 이 대표와 이 전 부지사에게 배신감을 느껴 “귀국해서 다 증언하라”는 취지의 지시를 받았기 때문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유동규 전 본부장이 이 대표에 대해 배신감을 느끼며 기존 진술을 번복하고 검찰에 폭로한 것처럼, 김 전 회장도 같은 노선을 탈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