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지역 교사들이 충분한 논의 끝에 ‘2023 학교평가지표’를 마련해야 한다며 경기도교육청을 규탄하고 나섰다.
경기교육연대는 2일 경기도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평가지표는 경기도내 모든 학교와 학생 교육을 규정하는 것”이라며 “교육주체와의 협의 없이 학교평가지표를 밀어붙여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학교를 평가하는 방법은 한 번 정하면 되돌리기 어려워 신규 사업을 실험하듯이 시행해서는 안 된다”며 “단순히 졸속으로 밀어붙이는 것이 아닌 평가 방식에 대해 연구하고 교육 주체들과 충분히 논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앞서 지난달 28일 도교육청은 개별 학교를 평가해 교육 현장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매년 실시하는 학교평가지표의 기준을 마련했다.
일선 학교를 평가해 장점은 강화하고 부족한 점은 지원해나가면서 학교별 맞춤형 지원을 하는 것이 골자다.
도교육청은 올해 초 일선 학교에 학교평가지표에 대해 의견수렴하고 설명회를 거치는 등 현장의 의견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연대는 “도교육청이 지난 1월 경기 북부와 남부 두 곳에서 설명회를 진행했으나 당시 방학이었던 만큼 설명회 참여 인원은 60명도 안 됐다”며 “시기와 방법이 적절하지 않은 졸속 탁상행정”이라고 말했다.
또 도교육청이 이번 평가로 학교들에 순위를 매기고 성과를 따지는 등 줄 세우기를 한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연대는 “도교육청은 평가가 아닌, 교육 현장을 직접 방문해 교사 및 학부모 등과 논의하고 학교가 필요해하는 것을 찾아야 한다”며 “또 교사들의 요구사항에 귀 기울이고 지원안을 마련하는 작업이 우선돼야 한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