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약 거래와 유통의 장벽이 낮아지면서 10대들이 마약 범죄에 무분별하게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경찰청이 정우택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검거된 마약사범 1만 2387명 중 294명이 10대 청소년으로 밝혀졌다.
2018년 104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약 3배로 늘었다. 당시 8107명 이었던 전체 마약사범이 1.5배로 늘어난 데 비해 증가폭이 크다.
인터넷에서 각종 마약을 뜻하는 은어를 검색하면 판매 경로를 안내하는 글이 쏟아지고 다크웹과 텔레그램에서 쉽게 마약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으로 확인됐다.
마약김밥·마약떡볶이처럼 식품 명칭이나 상호에 ‘마약’이라는 표현을 남용해 젊은 층이 마약을 가볍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돼 왔다.
최근에는 슈퍼푸드(건강식품)로 알려진 대마 씨앗를 넣은 커피를 ‘대마커피’라며 광고·판매하고 간판에 대마초 모양까지 그려 넣은 커피숍도 등장했다.
경찰청은 청소년 마역범죄 예방에 대한 표준 강의자료와 학교전담경찰관(SPO) 대상 자료를 보충하기 위해 지난달 ‘청소년 마약범죄 예방 교육자료 제작’ 용역 입찰 공고를 냈다.
이를 통해 초·중·고등학교별 자료를 만들고 펜타닐과 대마 및 다이어트약 등 각종 약물 성격에 따른 예방자료를 제작할 계획이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