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기업 63% “국내 ESG 평가사 신뢰 못 해”

"평가체계 및 가중치 미공개…결과 설명 부족"

 

국내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사가 난립하는 가운데 기업 10곳 중 6곳은 ESG 평가가 투명하게 운영되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기업 100개 사 ESG 담당 임직원을 대상으로 국내 ESG 평가사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63%는 국내 ESG 평가사가 투명하게 운영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85%는 평가사 내 이해 상충 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또 60%는 국내 ESG 평가사에 대한 법적 규제 필요성에 공감해 전반적으로 ESG 평가사에 대한 신뢰도가 높지 않았다. 

 

국내 ESG 평가사의 문제점으로는 가장 많은 64%가 평가 체계와 기준, 가중치의 미공개를 꼽았다. 평가 결과에 대해 충분한 설명이 부족하다는 응답도 46%였다.

 

한 기업 관계자는 “해외 평가사는 평가 기준과 가중치를 공개하고 평가 결과에 대한 설명을 해 주는 경우가 많은 반면 국내 평가사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아서 기업 입장에서는 평가에 대응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ESG 평가 대응에 애로사항으로는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고(53%), 평가 지표와 기준을 이해하고 해석하기 어려운 점(44%) 등이 꼽혔다. 최근 정부에서 발표한 ESG 평가기관 가이던스에 대해서는 평가사 자율규제(38%)보다는 정부·유관기관의 가이드라인 형태(60%)로 운영하자는 의견이 많았다.

 

국내 ESG 평가사 발전에 가장 필요한 개선과제는 공정성·투명성 제고(46%), 관련 법·제도 도입(28%), 평가사의 인력 역량과 전문성 강화(23%) 등으로 나타났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ESG 평가와 관련해 국내 기업들은 국내 평가사의 피드백 기회 제공 부족, 평가 방법론 미공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기업들이 ESG 평가 결과에 따른 불이익을 입지 않도록 국내 ESG 평가사의 투명성, 신뢰성 제고를 위해 정책 당국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백성진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