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 현장에서 인공지능 ‘챗GPT’ 교육에 대한 올바른 활용법 모색을 제기하고 나섰다.
지난해 11월 미국에서 출시된 ‘챗GPT’는 스스로 언어를 생성하고 추론하는 능력을 갖춰 다양한 분야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AI프로그램이다.
경기도교육청을 비롯한 교육계에서도 스스로 글을 쓰는 인공지능 ‘챗GPT’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부작용 또한 나타나고 있다.
지난 2월 국내 한 국제학교에서는 몇몇 학생이 챗GPT로 영문 에세이를 대필해 제출했다가 적발, 전원 ‘0점 처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외국에서도 ‘챗GPT대필’이 연달아 일어나 미국 뉴욕시의 공립학교는 챗GPT 접속을 차단했고 영국의 130여 개 대학은 챗GPT 악용을 우려하는 성명을 냈다.
서울시교육청의 ‘챗GPT 관련 교원 인식 설문조사’에서 ‘챗GPT 활용 유의 사항에 대한 교육이 우선돼야 한다’, ‘활용 기준이 모호하면 학생들의 학습이 무너진다’는 의견이 있었다.
하지만 일선 교사들은 챗GPT의 부작용을 우려하기보다 교육에 활용하는 방법을 고심해봐야 한다고 제언한다.
정웅열 백신중 교사는 “국내 초·중·고 교육과정은 과제형이 아닌 학교 안에서 진행하는 시험형 수행평가여서 표절 우려는 안 해도 된다”고 일축했다.
경기도교육청은 표절 등과 같은 문제에 대응해 지난 4월 관련 포럼을 개최해 챗GPT 교육 활용 시 표절, 오류 등 부작용 예시를 공유하고 보완점을 제시하는 시간을 가진 바 있다.
도교육청 미래교육담당과 관계자는 “현재 경기도에서는 챗GPT를 수업에 활용하는 과정을 다큐로 제작해 9월 중에 선보일 예정이다”며 “챗GPT가 학교 현장에 활용되었을 때 표절 등 부작용의 주의점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공지능을 교육 지침을 구성할 때 표절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디지털 인성교육과 무분별한 정보 선택에 대한 비판능력을 기르는 교육을 추가할 방침이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이보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