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 등지에서 전세사기가 발생했다는 의혹 관련 임대인 부부에게 피해를 입었다는 임차인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11일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사기 혐의로 피고소인 신분인 임대인 A씨 부부와 아들 앞으로 접수된 고소장이 이날 기준 총 73건이라고 밝혔다.
고소장에 따르면 이번 전세사기 의혹에 대한 피해 규모는 90억 원에 달한다.
고소장은 전날인 지난 10일 64건보다 9건 늘었으며 패해액도 10억 원 증가한 수치다.
아울러 이날 경기도 전세피해지원센터는 해당 의혹과 관련된 신고를 10일까지 총 297건 접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사흘 연휴에 따라 전세피해지원센터가 휴무에 들어가기 전날인 지난 6일까지 접수한 245건에서 정상 운영을 재개한 지난 10일 하루만에 52건이 늘어난 것이다.
피해 신고는 대부분 수원시에 집중됐으며, 계약 만기가 됐는데도 전세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했거나, 계약 기간이 남아있지만 향후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것을 우려해 관련 법률 상담을 받고자 하는 사례가 주로 접수됐다.
전세 계약금 총액이 파악된 건물은 11개로, 이들 건물의 계약금은 도합 333억 원 상당이다. 아직 구체적인 액수가 파악되지 않은 건물까지 합치면 총 전세 계약금은 1000억 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추측된다.
경찰 관계자는 “계약의 규모가 커서 피해 신고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최대한 신속하게 수사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