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올해 아파트값 가장 많이 오른 역세권은 어디?

직방 수도권 역세권 매매가 분석
8호선, 2호선, 신분당선 순 '강세'
단일 역 기준 '광명역' 최대 상승

 

올해 수도권 전철 노선 가운데 역세권 주택의 매매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노선은 8호선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 역 중에서는 '광명역'의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23일 종합 프롭테크 기업 직방에 따르면 수도권 전철 노선 중 올해 매매가격지수가 가장 많이 오른 노선은 지난해 12월 말 대비 14.15% 상승한 8호선이었다. 8호선 중 상승률이 높은 역은 ▲몽촌토성역(21.15%) ▲송파역(16.51%) ▲가락시장역(15.68%) ▲남한산성입구역(14.71%) ▲문정역(14.32%) 등이었다.

 

그 다음으로 2호선이 12.32% 상승하며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2호선 중 ▲잠실새내역(19.48%) ▲잠실나루역(19.46%) ▲양천구청역(18.40%) 순으로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신분당선도 지난해 12월 말 대비 11.94% 상승하며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역별로는 ▲광교중앙역(18.67%) ▲상현역(18.19%) ▲정자역(14.41%) ▲동천역(14.12%) ▲수지구청역(13.51%) 순으로 상승률을 나타냈다.

 

수도권 전철 중 올해 가장 많이 오른 역세권은 27.19% 상승한 1호선 광명역 역세권으로 집계됐다. 이 지역은 2021년 9월 이후 하락세를 보이다가 지난해 12월(2019년 11월 이후 가장 낮은 가격 기록) 이후 올해 1월부터 소폭 반등하기 시작하면서 상승률이 커졌다.

 

두 번째로 많이 오른 역세권은 3호선 대청역 역세권이다. 지난해 12월 말 대비 올해 9월 말 기준 23.81% 상승했다. 그 다음으로 8호선 몽촌토성역, 9호선 한성백제역, 7호선 신대방삼거리역 순으로 20%가 넘는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 중 몽촌토성역과 한성백제역은 역사 간의 사이가 300~400m 정도 거리라 역세권 아파트가 겹치면서 가격지수 변동도 거의 같이 움직이며 근소한 차이로 3, 4위를 기록했다.

 

아파트 입지여건 중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조건 중 하나인 역세권은 편리한 교통여건이 확보되기 때문에 선호도가 높다. 통근·통학이 편리하고 전월세 수요도 구하기 쉽기 때문이다. 최근 아파트 매매거래가 예년 같지 않지만 경쟁력 있는 역세권 아파트는 올해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직방 관계자는 "매매가격지수가 가장 많이 상승한 노선과 역세권의 특징은 동부지역 및 강남으로의 접근성이 우수한 지역"이라며 "대출규제가 15억 원까지 풀리고 규제지역이 해제되는 등 거래 제약이 풀린 영향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