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이 2025년 1분기 매출 6조2650억 원, 영업이익 3747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큰 폭의 이익 개선을 이뤘다. 다만 미국 IRA 세액공제를 제외할 경우 실제 영업이익은 적자로 나타났다. 30일 LG에너지솔루션은 2025년 1분기 실적발표를 통해 매출 6조2650억 원, 영업이익 3747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2퍼센트, 138.2퍼센트 증가한 수치다. 1분기 실적에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세액공제 4577억 원이 포함됐다. 이를 제외한 실제 영업이익은 830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회사는 북미 전기차 수요와 원통형 배터리 견조 수요가 매출에 긍정적 영향을 줬지만, 완성차 업체들의 재고 조정과 ESS 비수기 영향으로 전체 매출은 전분기 대비 2.9퍼센트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손익 측면에서는 원재료 가격 안정과 비용 절감을 통해 수익성을 크게 개선했다. EBITDA 마진은 20퍼센트를 기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생산시설 운영 효율화와 수주 확대 등 성과도 강조했다. 미시간 공장을 ESS 거점으로 재배치해 생산 시점을 1년 단축하고, 북미 46시리즈 배터리 공급과 ESS 대형 계약 성사로 기
현대글로비스가 2025년 1분기 영업이익 5019억 원을 기록하며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비계열 확대와 수익성 중심 전략이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30일 현대글로비스는 이날 2025년 1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하고, 매출액 7조2234억 원, 영업이익 5019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9.7퍼센트, 30.4퍼센트 증가한 수치이며, 영업이익 기준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이다. 영업이익률은 6.9퍼센트로 집계됐으며, 물류, 해운, 유통 전 부문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물류 부문은 매출 2조4580억 원, 영업이익 1981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1퍼센트, 9.0퍼센트 증가했다. 완성차 해외 판매 확대에 따라 내륙 운송 및 부품 수출입 포워딩 매출이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해운 부문은 비계열 매출 확대와 선대운영 효율화 전략에 힘입어 매출 1조2570억 원, 영업이익 1372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9.2퍼센트, 66.3퍼센트 증가한 수치다. 유통 부문에서는 반조립 부품(CKD) 물량 증가와 환율 효과가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매출액은 3조5084억 원, 영업이익은 1
GS건설이 올해 1분기 안정적인 실적을 발표하며 건설업계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저력을 입증했다. GS건설은 공정 공시를 통해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3조 629억 원, 영업이익 704억 원, 세전이익 406억 원, 신규수주 4조 6553억 원의 잠정 실적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3조 709억 원) 대비 소폭인 0.26%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지난해와 유사한 704억 원을 기록하며 수익성을 유지했다. 사업본부별로는 건축·주택사업본부가 2조 96억 원, 플랜트사업본부가 2836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인프라사업본부의 매출이 3455억 원으로 전년 동기(2642억 원) 대비 30.8% 증가하며 실적 방어에 힘을 보탰다. 1분기 신규 수주는 총 4조 6553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조 3018억 원)보다 41% 급증했다. 주요 수주로는 ▲복산1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1조 1392억 원) ▲오산내삼미2구역 공동주택사업(5478억 원) ▲신림1재정비촉진구역 재개발정비사업(4616억 원) 등이 포함됐다. 비(非)주택 분야에서도 7000억 원이 넘는 수주 성과를 거두며 고른 실적 분포를 보였다. GS건설은 올해 초 제시한 연간
롯데건설은 지난 28일 서울 종로구 북촌한옥마을 내 위치한 한옥 갤러리 ‘이음 더 플레이스’에서 박현철 부회장과 주니어보드 5기 구성원들의 킥오프(Kick-off) 미팅을 진행했다고 30일 밝혔다. 롯데건설은 임직원의 60%가 MZ세대인 만큼 이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조직문화를 개선하고자 2021년부터 ‘주니어보드’를 운영하며 경영진과 주니어 직원 간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부터 ‘링크(LINC, LOTTE E&C Innovation N(&) Change)’라는 명칭으로 현장과 본사, 시니어와 주니어 간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주니어보드 5기는 직무와 직급, 성별 등을 고려해 다양한 계층을 대변할 수 있는 1991년 이후 출생 직원 12명을 선발했다. 올해에는 ‘존중과 배려’ 및 ‘리더 소통법’ 주제로 경영진과의 대화, ‘일하는 방식 전환’을 주제로 그룹사 사례 공유 및 교류회, 구성원들이 서로 소통하며 문제점을 해결하는 문화 정착을 위한 대담회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자율과 혁신을 바탕으로 조직문화를 구축하고, 회사의 주요 의사결정에 주니어 직원들의 의견을 반영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행사는 박현철 부회장과 주니어보드가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SK에코플랜트와 손잡고 기술 협력을 강화한다. 삼성물산은 30일 서울 문정동 래미안갤러리에서 SK에코플랜트와 스마트 주거기술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명석 삼성물산 주택사업본부장(부사장)과 이기열 SK에코플랜트 솔루션(Solution) 영업총괄(부사장)을 비롯한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각사의 스마트 주거 상품에 대한 내용을 공유했다. 삼성물산의 홈플랫폼 홈닉, SK에코플랜트의 재활용 폐기물 관리 솔루션인 '피클(PICKLE)' 등 양사가 보유한 스마트 주거 솔루션에 대한 기술 교류를 통해 시너지를 창출할 방침이다. 홈닉은 디지털 스마트홈 서비스와 문화 생활과 건강 관리 등 주거 생활 모든 서비스를 한번에 이용할 수 있는 홈플랫폼이다. 래미안과 함께 한화 건설부문, 두산건설, HS화성 등 타 브랜드 아파트 단지에도 외연을 확장하면서 현재까지 약 6만여 세대에서 적극 활용하는 등 입주민 필수 서비스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SK에코플랜트의 주택브랜드 드파인(DEFINE)과 SK뷰(SK VIEW) 신축 단지의 입주민들에게도 관리비 조회, 커뮤니티 시
LG전자가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신형 무선청소기 A9 AI를 출시했다. 흡입력 자동 조절 기능과 진단 시스템을 통해 청소 중단 불편을 줄이고 고객 편의를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30일 LG전자는 인공지능 기반 무선청소기 ‘LG 코드제로 오브제컬렉션 A9 AI’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제품은 청소 중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중단 불편을 줄이기 위해 ‘AI 표준 흡입력 조절’ 기능을 탑재했다. 해당 기능은 사용자의 청소 패턴, 배터리 잔량, 청소 시간 등을 AI가 스스로 분석해 흡입력을 자동으로 조절한다. 흡입력 제어에는 LG전자의 인버터 기술이 활용되며, 이는 직류를 교류로 전환해 모터 회전을 정밀 제어하는 핵심 부품이다. A9 AI는 배터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자가 진단 기능도 강화됐다. 본체 LCD 화면을 통해 배터리 수명 확인이 가능하며, LG 씽큐 앱 연동 시 기기 이상이나 교체 시기 관련 알림도 받을 수 있다. 편의 기능도 추가됐다. LED 라이트 각도 조절로 어두운 틈새 청소가 가능하며, 청소기 본체를 바닥에 내려놓으면 자동으로 작동을 멈추고, 다시 들면 작동하는 ‘오토 스탑앤고’ 기능도 그대로 유지된다. 제품 무게는 2.54kg으로 동급 최경량
LG디스플레이가 글로벌 환경 평가 기관 CDP의 ‘탄소경영 섹터 아너스’에 9년 연속 이름을 올렸다. 적극적인 온실가스 감축과 재생에너지 전환 성과가 높게 평가됐다. 30일 LG디스플레이는 국제 비영리기구 CDP(Carbon Disclosure Project)가 발표한 ‘2024 기후변화 대응’ 평가에서 IT 부문 ‘탄소경영 섹터 아너스’ 수상 기업으로 9년 연속 선정됐다고 밝혔다. CDP는 전 세계 금융 투자 기관이 공동으로 주관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로, 주요 기업의 환경 경영 정보를 평가해 투자자에게 공개하고 있다. 기후 변화에 대한 기업의 대응 전략, 온실가스 감축 활동, 에너지 효율화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평가 결과를 발표한다. LG디스플레이는 2024년 기준으로 국내외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2018년 대비 43퍼센트 감축했다. 전체 사용 전력 가운데 39퍼센트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한 점도 주목받았다. 또한 제품 생산 중 발생하는 직접 배출(Scope1)과 간접 배출(Scope2)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주요 활동으로는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탄소 감축 설비 도입, 디지털 기술 기반 스마트 설비 운영 등이 포함
국내 1위 전기차 충전 기업 EVSIS가 미국 시장에서 첫 납품 계약을 체결하며 본격적인 진출에 나섰다. 미국 현지 수요 증가와 중국산 제품 견제로 한국산 충전기의 입지가 커지는 가운데 EVSIS는 품질과 가격경쟁력을 앞세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30일 EVSIS의 미국 법인 EVSIS 아메리카는 최근 미국 전기차 충전소 운영사들과 총 50억 원 규모의 충전기 납품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EVSIS는 지난해 미국 캘리포니아에 법인을 설립하고 현지 생산라인 구축을 마무리한 뒤, 올해부터 본격적인 영업을 시작했다. 1월부터 EVCS, EV Energy, EV Gateway, Lynkwell 등 주요 CPO들과 총 120여 대의 100kW 이상 급속 충전기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순조로운 시장 진입에 성공했다. EVSIS 아메리카는 급속 충전기를 주력 제품군으로 설정하고 틈새시장 공략 전략을 펼치고 있다. 현재 미국 충전 인프라는 완속 위주로 구성돼 있지만 전기차 보급이 확산되며 급속 충전기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로모션에 따르면 2024년 북미 전기차 판매량은 180만 대로 전년 대비 10퍼센트 성장했으며, 2025년 1~2월 판매
새마을금고중앙회 경기지역본부가 2025 경영평가 연도대상을 열고 2024년 실적을 기준으로 도내 우수 금고 13곳을 선정해 시상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경기지역본부는 지난 29일 화성 푸르미르 호텔에서 ‘2025 경기 새마을금고 경영평가 연도대상’을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장, 중앙회 상근임원, 도내 금고 이사장 및 수상자 등 12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2024년 경영 실적을 기준으로 분야별 우수 금고를 선정해 시상하고, 우수 사례를 공유하는 취지로 열렸다. 경영평가대상은 군자새마을금고가 차지했으며, 경영우수 부문 최우수상은 진접새마을금고가 수상했다. 같은 부문 우수상은 화도, 군포, 안산동부, 안양협심, 삼성전자, 기아 등 6개 금고가 선정됐다. 혁신경영 부문에서는 용인제일새마을금고가 최우수상, 양주와 동두천중앙 금고가 우수상을 수상했다. 조직문화 부문 우수상은 포천새마을금고, 상생발전 부문 공로상은 서수원새마을금고가 각각 수상했다. 김인 회장은 “대내외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경영성과를 이룬 수상 금고에 축하를 전하며, 새마을금고가 포용금융을 기반으로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해 나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재개발·재건축 조합들이 급등하는 공사비 부담에 기존 시공사와 갈등을 빚으며 ‘시공사 교체 카드’를 잇따라 꺼내들고 있다. 그러나 시공사 교체 과정에서 사업이 지연되고 오히려 공사비가 더 높아지는 사례가 속출하면서 조합 내부 갈등과 조합원 부담 가중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30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용산구 한남2구역 재개발 조합은 최근 임시총회를 열고 대우건설 시공사 지위 재재신임 여부를 두고 표 대결을 벌였다. 투표 결과 대우건설 계약 유지에 찬성한 조합원이 439명, 반대한 조합원이 402명으로 집계돼 계약은 유지됐지만, 조합 내부는 사실상 양분됐다. 한남2구역은 2022년 대우건설을 시공사로 선정할 당시 ‘118 프로젝트’(층수 상향 및 관통도로 폐지 등)를 핵심 공약으로 내세웠다. 그러나 1년 넘게 사업이 진척되지 않자 조합은 시공사 교체를 추진했고, 대우건설의 적극적인 설득 끝에 간신히 계약을 유지했다. 하지만 조합원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불신이 잠재돼 있다. 실제 시공사를 교체한 단지들은 후폭풍을 맞고 있다. 대표적으로 서울 노원구 상계주공5단지는 지난해 GS건설과 계약을 해지한 뒤 시공사 재선정에 나섰지만, 예정 공사비가 3.3㎡당 770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