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9 (토)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무량판 민간 아파트엔 부실시공 없었다"

국토부, 2개월간 288개 단지 427곳 전수조사

 

정부가 최근 두 달간 무량판 구조를 적용한 민간 아파트를 전수조사한 결과 철근 누락 및 콘크리트 강도에 문제가 있는 단지는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는 23일 지자체에서 제출받한 민간 무량판 구조 아파트 총 427개 현장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 안전에 문제를 일으킬 부실시공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지하주차장 전단보강근 누락 사태 이후 8월 무량판 공법으로 지어진 민간 아파트 전수조사 계획을 발표한 지 두 달 만이다.

 

이번 전수조사는 현대 시공 중인 단지 139곳과 2017년 이후 완공된 아파트 288곳 등 총 427곳을 대상으로 실시하되 지하주차장 외 주거동까지 조사 범위에 포함했다. 이 중 민간 아파트가 378개 단지고, LH를 제외한 서울주택도시공사(SH),경기주택도시공사(GH) 등 지방자치단체 주택도시공사가 발주한 공공분양·임대주택이 49개 단지다. 주거동에도 무량판 구조를 적용한 단지는 153개, 지하주차장에만 적용한 단지는 265개다.

 

국토부 관계자는 “전수조사에서 지하주차장 외 주거동까지 조사 대상에 포함했는데 주거동의 경우 벽식 구조가 많이 혼합돼 있는 구조가 많기 때문에 전문가가 벽식 구조에 가깝다고 판단한 단지들은 제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37개 단지는 착공 전이기 때문에 서류만 검토했다”며 “현장점검의 경우 준공단지는 모두 다 진행했고 시공 중인 단지는 착공 전만 빠졌다”고 덧붙였다.

 

시공 중인 단지는 건설기술 진흥법상 이미 지정된 점검업체가 조사하고, 준공 단지는 국토부가 기준을 마련해 점검업체를 선정했다. 158개 업체가 투입됐으며, 현장 점검 땐 반드시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국토안전관리원이 입회했다. 준공 단지 288곳 중 121곳에선 입주민 대표 기구 등이 입회했다. 모든 조사는 국토안전관리원이 마지막에 점검 결과를 검증하는 순으로 마무리됐다.

 

그 결과 준공된 아파트 단지에서는 전단보강근(철근) 누락이 발견되지 않았다. 비파괴 방식으로 전단보강근 배근 상태와 콘크리트 강도를 측정한 결과 준공된 현장과 시공 중인 현장 모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착공에 들어가지 않은 1개 단지는 설계가 제대로 됐는지 확인하는 과정에서 전단보강철근 누락이 발견됐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착공 전 설계 보완 조치를 하도록 했다.

 

2개 단지의 경우 세대 내부 조사가 필요했으나 입주민 반대로 실시하지 못했다. 이들 단지는 최상층 일부 세대 천장에만 전단보강근이 필요한 구조라 전체적 구조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고 국토부는 밝혔다. LH 외에 SH, GH 등 지자체 공사가 지은 공공 아파트에서는 부실시공이 나타나지 않았다.

 

국토부는 시공 중인 비아파트(주상복합, 오피스텔 등) 무량판 건물에 대해서도 지자체 주관으로 조사를 진행 중이다. 총 57개 현장 중 47곳의 조사가 완료됐는데, 이 중 콘크리트 타설 전 보강근 설치가 미흡한 것으로 파악된 현장은 1곳이었다. 최상층 18개 기둥 중 1개 기둥에 들어가는 보강근 6개 중 2개가 누락됐고, 지금은 보완 조치를 끝낸 상황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앞으로 국민이 공동주택에 안전하게 거주할 수 있도록 건설현장 안전강화를 위한 방안을 근본적으로 마련하고 있다"며 "이른 시일 내에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