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16일 "내년엔 참여정부 들어 남북간의 공존공영의 정책들이 한 단계 더 높게 진행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광복 60년이자 6.15 5주년인 내년은 각별한 역사적 의미가 있는 만큼 민간단위의 활발한 교류와 더불어서 당국간 교류도 늘어날 것으로 본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 장관은 "전날 개성공단 시제품 생산 기념식도 당국간 대화를 빨리 복원시키는데 작은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이어 "나의 꿈은 참여정부가 성공하는 데 있다"며 "참여정부가 성공키 위해선 남북관계가 성공해야 하는 만큼 남북 관계를 담당하고 있는 통일부 장관으로서 이 일에 전심전력을 다하는 것이 소명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정 장관은 특히 북핵문제와 관련해 "북한은 현재 선택의 기로에 서있다"고 진단한 뒤 "우리 정부는 줄곧 북한이 국제사회의 당당한 구성원으로 참여하는 전략적 결단을 내려야한다고 일관되게 말해왔다"면서 "우리정부는 이를 위해 북한과 국제사회의 신뢰를 이끌어내는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그러면서 "북한 문제와 북한 핵문제와 관련한 우리정부의 평화적 해결 원칙에 대한 국제사회의 이해가 넓어졌다"며 "미국 정부 역시 지금은 대북체제 압박 강경론이 수면 아래로 일단 잠복한 상태"라고 평가했다.
정 장관은 이에 따라 "우리 정부가 성의를 다해서 북을 도울 의지를 가지고 있고 능력을 가지고 있는 만큼 우리 정부가 화해 협력에 대한 믿음을 준다면 북도 신뢰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개성공단 사업에 대해 "미국 최고부의 정책 결정자들이 겉 다르고 속 다른 표현을 했다고는 믿지 않는 만큼 미국이 개성공단을 환영치 않을 것이란 것은 오해"라고 지적한 뒤 "전략물자 반출입 문제도 미국과의 협조가 만족할 만한 수준에서 원활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역설했다.
정 장관은 다만 "미국정부가 북한이 개성공단을 통해서 시장경제나 기업 경영의 경험을 배우고 하는 것들이 남북 화해와 북핵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된다는 인식을 우리 정부와 공유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