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현장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악성민원 등을 줄이는 ‘학부모 교육’의 참여율이 저조해 교육청과 학부모회가 연대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학부모교육은 학부모들이 학교 현장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소통 부재로 일어나는 악성민원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민원 제기 시 요구의 상한선을 인지해 올바른 건의 방식을 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경기도 학부모들도 교육의 필요성을 깊이 인지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 2023년 경기도 학부모 1만 2000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학부모 교육을 위한 '학부모 휴가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86.5%였다.
하지만 현재 경기도 내에서 운영되는 학부모교육은 참여율이 저조하다. 작년 경기도 25개 교육지원청에서 학부모교육을 운영했으나, 평균 100개의 학교가 배치된 지원청 1개 당 30회 정도밖에 운영하지 못했다.
현행법 상 학교장 재량으로 연1회 이상 학부모교육이 실시돼야 하는데, ‘연1회’ 진행하는 교육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니 학교 입장에서는 참여 독려도 어려운 실정이다.
용인지역 학부모회 관계자에 따르면 교권·성폭력 등 예방교육은 정원 미달로 폐강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문제는 학부모의 학교현장 이해도가 낮아지면, 단지 자녀의 말에 의존해 '단순한 건의사항'도 '악성 민원'으로 변질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실제 광교의 한 초등 교사 A씨는 “학부모들이 학년 별 발달사항 등을 대략적으로만 인지하고 있어도 자녀가 훈육 받은 이유를 납득하는데, 그런 이해가 바탕이 되지 않으니 '왜 내 아이만 혼내냐'는 민원을 받는다”고 토로했다.
일각에서는 교육청이 학교와 학부모 양 측 입장을 잘 알고 있는 ‘학부모회’를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교육청이 선두로 질 높은 학부모교육을 선보이면 각 지역마다 연결된 도내 학부모회가 소통망을 활용해 홍보물 제작 및 배포 등 참여를 적극 독려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교육청이 먼저 학부모 교육의 질을 높이는 신호탄을 쏴 줘야 한다고 제언했다.
고로사 용인지역 학부모회장은 “유명 유튜버 섭외, 콘서트 개최 등 교육청이 학부모 교육의 질을 높여준다면 도내 학부모회는 각 지역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 홍보물을 제작 및 배포할 인프라가 구축돼 있다”고 말했다.
이에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학부모회의 인프라로 학부모교육을 홍보해 준다면 충분한 기대효과가 생길 것”이라며 “긍정적인 방향으로 논의해보겠다”고 전했다.
[ 경기신문 = 이보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