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물가 상승률 목표까지 '마지막 걸음' 쉽지 않을 것"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자설명회
"원자재 가격 불확실성 크고 노동비용 높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물가상승률을 목표 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한 마지막 걸음이 지금까지보다 쉽지 않을 수 있다"며 기준금리 완화와 관련된 시장의 기대에 대해 경계심을 드러냈다.


이 총재는 20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자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앞으로도 금리 인상의 영향이 지속되면서 물가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여전히 목표 수준을 크게 웃도는 물가 오름세가 지속되고 있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에 대한 긴장을 늦추기는 아직 이르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올 한해를 되돌아보면 인플레이션 둔화 과정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며 "지난해 7월 6.3%까지 높아졌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올해 11월 중 3.3%로 크게 둔화했으며, 근원인플레이션도 지난해 11월 4.2%에서 지난달 2.9%로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의 향후 추이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가운데 누적된 비용 인상 압력의 영향이 지속되고 있고 노동비용도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며 "이런 점을 감안할 때, 인플레이션을 목표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한 라스트 마일은 지금까지보다 쉽지 않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또한 "지난주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와 유럽중앙은행(ECB)이 최근의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을 반영해 물가 전망을 하향 조정하면서도 여전히 인플레이션에 대한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있는 점도 '라스트 마일(last mile)'의 어려움을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한은은 이날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를 통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내년 연말로 갈수록 2%에 근접해 나갈 것으로 내다봤다. 향후 물가 전망경로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국제유가 추이, 국내외 경기 흐름, 누적된 비용압력의 영향 등을 꼽았다. 
 

한은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단기적으로 크게 올랐던 유가·농산물가격이 하락하면서 11월 중 상당폭 둔화됐지만 앞으로도 이처럼 빠른 하락이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며 "12월 중에는 전월과 비슷하거나 소폭 낮아진 후 추세적으로 둔화하며 내년 연말로 갈수록 2% 부근으로 근접해 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물가 전망경로 상에는 국제유가 추이, 국내외 경기 흐름, 누적된 비용압력의 영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다"며 "국내외 수요부진 심화, 유가 하락 등의 하방리스크와 중동사태 등 지정학적 불안 고조에 따른 유가 재급등, 비용압력의 파급영향 강화, 기상이변 등의 상방리스크가 혼재돼 있다"고 설명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