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물가 여파로 신선과일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냉동과일 수입량이 지난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18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전망 2024’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냉동과일 수입량은 6만 4000톤(t)으로 전년보다 6% 증가했다.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지난해 국내산 과일이 공급량 감소로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다"며 "반면 상대적으로 저렴한 냉동과일은 소비자 증가로 수입량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실제 지난해 기상재해 여파로 국내산 신선과일 가격은 가파르게 뛰었다. 사과 가격은 후지 품종 수확기인 11월에도 전년 동기보다 73% 높았고, 12월에는 전년 동기 대비 79% 높게 형성됐다.
배 역시 지난해 8∼12월 내내 생산량 감소로 전년 동기보다 38% 상승했다. 대체 과일 수요 증가로 감귤(노지온주) 가격은 지난해 10∼12월 12% 비쌌다.
냉동과일은 상대적으로 저렴할 뿐만 아니라, 오래 보관하기도 좋다.
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지난해 12월 22∼26일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보면 조사 대상 38%가 냉동과일 구매 이유로 ‘저장이 용이해서’라고 답했다.
주스를 만드는 등 가공 섭취가 쉽다는 점(36%)과 저렴한 가격(22%)도 구매 이유로 꼽혔다.
구매 경험에서는 냉동블루베리를 구매했다는 응답이 30%로 가장 많았다. 이어 냉동망고(22%), 기타 냉동과일(1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