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전재희(광명을), 열린우리당 이원영 의원(광명갑) 등 수도권 출신 여야 의원 29명이 정치권의 극한 대립 양상에서 벗어나 지역발전을 위한 일에 팔을 걷어부쳤다. 이들 두 의원을 비롯한 여야 의원 29명은 29일 개통 초기 준비부족과 정차역 확대요구로 인해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는 고속철도(KTX) 문제와 관련, '고속철도 정차역 확대반대 및 광명역 조기 정상화'를 위한 의견서를 국회건설교통위와 건교부, 철도청 등 관계기관에 전달했다.
이들은 의견서에서 지난 6일 영등포구민 11만7천명이 '고속철도의 영등포역 정차'를 요구하는 청원을 국회에 제출하고, 이에 대해 광명 등 경기도민 61만8천여명이 '고속철도의 영등포역 정차를 반대'하는 청원을 내는 등 지역간의 갈등이 불거지고 있는 것에 대해 '고속철도 운영계획' 본래의 목적에 따라 정부가 조기에 명확한 결론을 내릴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특히 "영등포역 정차는 열차 운행속도를 저하시켜 추가 비용 지출이 불가피함은 물론 수도권 과밀의 역내 분산과 균형 발전이란 국가 정책 목표에 정면으로 배치된다"며 "광명역의 비정상적 운영이 연계 교통망과 역세권 개발이 미비해 발생한 것이므로 정부는 조속히 이의 실행 계획을 수립, 광명역의 정상화를 꾀하라"고 주문했다.
총 4천억원의 공사비가 투입돼 지난 4월 1일 개통된 광명역은 당초 시발역으로 설계됐으나 지하철과 연계하는 경전철 사업, 신안선선 연결, 인천공항과의 연계교통망 건설 등 인프라 구축사업이 늦어짐에 따라 현재는 정차역으로만 이용되고 있다.
이같은 고속철의 간헐적 정차로 잠재 수요를 충분히 현실화 시키지 못해 기존에 있던 버스 노선마저도 채산성 악화로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 전재희, 이원영 의원은 “영등포역 정차는 고속전철의 본래 건설 취지에 어긋나는 일일 뿐 아니라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따라서 이들 두 의원은 "정차역의 확대보단 역세권 및 관련 인프라의 확충으로 광명역을 되살리는 것이 수도권 경제의 활성화를 위해서나 막대한 재정 낭비로 낙인찍힌 국가사업에 대한 국민적 불신을 해결하는 길”이라고 직시했다.
두 의원은 또 "작금의 정치 상황에 비춰볼 때 여야의 골이 한강보다 깊은 것이 사실이나 이번 일을 계기로 지역발전을 위한 일에 마음을 뜻을 합쳐 어려움을 함께 헤쳐 나가기로 했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