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준 신임 교육부총리의 자질 문제가 시민단체와 교육계 안팎에서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다.
참여연대는 5일 서울 안국동 느티나무 카페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기준 교육부총리 즉각적인 임명 철회를 촉구했다.
김기식 사무처장은 "이 부총리는 공직자로서 요구되는 도덕성에 큰 하자가 있는 인물로 국가 백년지대계인 교육정책을 총괄하는 교육부총리 직무를 수행키에 부적합한 인물이다"고 평했다.
참여연대는 "이 부총리는 서울대 총장 재직 시절 개인업무에 거액의 판공비를 쓰고 부인까지 20여차례에 걸쳐 법인카드를 사용했을 뿐 아니라 LG의 사외이사직을 맡은 사실이 뒤늦게 밝혀져 영리목적의 겸직을 금지하고 있는 국가공무원법을 어겼다"고 주장했다.
참여연대는 "이 부총리는 당시 겸직논란이 불거지자 LG측으로부터 지급받은 연구비 액수를 축소 발표해 비난을 사기도 했었으며, 기성회비에서 3억3천만원에 상당하는 업무추진비를 변칙적으로 사용했다는 의혹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지적했다.
참여연대는 "이같은 부적절한 처신으로 학내외의 지탄을 받아 총장직에서 불명예 퇴진한 인물이 참여정부 교육부총리직에 임명된 것은 대단히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 김 처장은 "집권 초반기를 넘어서면서 초기의 도덕적 긴장감이 느슨해지면서 각종 인사문제 부패행위가 드러나고 결국 정권에 대한 신뢰가 붕괴됐던 전철을 되풀이하고 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고 말했다.
앞서 한국교총과 전교조, 민교협 등 교육단체들도 도덕성 시비가 일고 있는 이 부총리의 임명에 강한 반대입장을 나타냈다.
그러나 직접 당사자인 이 부총리는 이날 오전 취임사에서 자신을 둘러싼 도덕성 논란과 관련해 일체의 언급을 회피했다.
참여연대는 이 부총리 임명이 철회되지 않을 경우 퇴진운동도 불사하겠다고 밝혀 또다른 파문이 예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