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준 신임 교육부총리 임명을 둘러싼 논란이 연초부터 정치권을 달구고 있다
한나라당은 청와대 인사팀 경질을 요구하며 집중 공격을 퍼부었고, 열린우리당과 청와대측은 인사권은 대통령의 고유권한이라면서도 곤혹스런 표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서울대 총장 절 전력 시비에 이어 장남 동주씨의 국적 포기 문제가 새롭게 불거지면서 이 부총리 문제가 정치권의 논쟁거리로 비화되고 있다.
한나라당 김형오 사무총장은 6일 "이 부총리는 교육자로서의 길을 어떻게 마감하는게 좋은지 스스로 결정해야 할 것"이라며 "국민의 비판여론을 수용, 자진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김 총장은 그러면서 "임명 제청에 관여했던 청와대 인사팀 등 청와대 인사시스템의 문제가 드러난 만큼 국민불신이 더 이상 생기지 않도록 즉각적인 인사조치를 단행하라"고 다그쳤다.
이에 대해 열린우리당은 지적되고 있는 문제가 이미 검증된 것이라면서도 곤혹스런 표정을 감추지 못한 채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임채정 신임 의장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아직 정확한 실태파악이 덜 끝났고, 인사권은 대통령의 고유권한"이라면서도 "의견을 낼 기회가 있으면 내겠다"며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청와대 관계자들도 "이 부총리에게 일부 허물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대학교육 개혁을 위해 헌신한 점과 업무수행능력을 덮을만한 것은 아니다"며 비판여론에 답답한 기색이 역력한 가운데 문재인 시민사회수석을 중심으로 시민단체 등에 대해 이번 인사의 적합성을 적극 홍보키로 했다.
한편 자신의 도덕성 논란과 관련, 소극적 태도를 보였던 이 부총리는 장남의 국적포기 사실이 드러나자 그동안의 입장에서 한 발 물너나 유감을 표명하고 적극 해명쪽으로 입장을 선회했다.
이 부총리는 이날 오전 한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 "그런 일이 없었으면 좋았겠지만, 유감이다"며 "복잡한 이 때에 저의 문제로 조금이라도 물의를 일으켜 유감이다"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그러나 "장남(동주씨)은 미국에서 태어났고, 성인이 된 한 가장의 결정인 만큼 존중해줘야 한다는 생각"이라며 "국적 포기사실은 사전에 알지 못했다가 나중에 호적등본을 떼는 과정에서 알게됐다"고 해명했다.
이 부총리는 그러면서도 도덕성 논란에 대해 "좀 더 잘하라는 채찍으로 알고 소임을 다하겠다"며 정면돌파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서울대 총장 재직 시절 도덕성 시비에 이어 장남의 국적포기 사실이 드러나면서 논란이 쉽게 가라 앉지 않을 전망이어서 이 부총리가 어떤 결정을 내릴 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