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내 노인 비율이 지난해 15%를 넘은 가운데 노인 셋 중 한 명은 노후 준비를 하지 못했으며 월 소득이 100만 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24일 지난해 기준으로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 현황, 도 사회조사 등 65세 이상 노인 관련 각종 통계자료를 분석한 ‘경기도 노인통계 2023’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우선 도내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12만 3000명으로, 도 전체 인구 1363만 1000명의 15.6%(2023년)를 차지했다.
31개 시군 모두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가운데 연천(31%), 가평(30%), 양평(29.4%), 여주(25.3%), 포천(24.3%), 동두천(24.1%)에 이어 안성도 지난해 20.2%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가장 낮은 곳은 화성시 (10.3%)다.
경기도 노인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00만 원 미만’이 30.5%, ‘100만~200만 원 미만’이 27.3%로 총 57.8%의 노인가구가 월 200만 원 미만 소득 구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전인 2019년 월 200만 원 미만의 노인가구 비중은 69.4%로 저소득 노인가구 비중이 10%p 가까이 감소했다.

노후 준비에 대해서는 노인 중 66.7%가 노후 준비가 됐다고 응답했는데, 2019년 57.1%와 비교해 크게 증가한 수치다.
노후 준비가 되지 않은 노인은 전체 노인의 33.3%로 적지 않은 비중이다. 노후 준비가 되지 않은 노인 중 59.8%는 준비할 능력이 없고, 35%는 자녀에 의존할 계획이라고 각각 답했다.
생활비 중 가장 부담스러운 항목은 의료비(41.5%)와 식료품비(21.5%)로 나타났고, 필요한 노인복지서비스로 ‘가사서비스(26.9%)’와 ‘건강검진·취업알선(16.8%)’이 각각 1‧2순위로 꼽혔다.
도 관계자는 “노인 문제는 가까운 미래에 우리 모두가 직면할 문제이므로 도 인구정책에서도 고령화 정책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며 “노인통계 등 관련 통계를 지속적으로 작성해 도와 시군의 정책지원에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UN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까지 올라가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하고 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