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6 (일)

  • 맑음동두천 20.9℃
  • 맑음강릉 24.8℃
  • 맑음서울 22.1℃
  • 맑음대전 22.8℃
  • 맑음대구 24.0℃
  • 맑음울산 23.6℃
  • 맑음광주 22.8℃
  • 맑음부산 24.5℃
  • 구름조금고창 22.7℃
  • 구름많음제주 24.6℃
  • 맑음강화 22.8℃
  • 맑음보은 21.1℃
  • 맑음금산 22.4℃
  • 맑음강진군 24.5℃
  • 맑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4.6℃
기상청 제공

한국은행, 기준금리 또 동결…인하 하반기로

고물가·경기 회복에 11회 연속 동결
경제성장률 전망치 2.1→2.5%로 상향
이창용 "인하 시점 불확실성 훨씬 커져…
물가 2.3~2.4% 추세 확인되면 인하 고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또 동결하면서 기준금리 인하 시점은 올해 하반기로 넘어가게 됐다. 물가와 환율이 여전히 불안정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데다,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2.5%로 상향 조정돼 금리를 낮출 필요성이 희미해졌기 때문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난달보다 커졌다고 강조하며 물가상승률이 2%대 초반까지 내려야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23일 오전 통화정책방향결정회의(이하 통방회의)를 열고 금통위원 전원 일치로 현 3.5%인 기준금리를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지난해 2월 이후 11차례 연속 동결 결정이다. 

 

금융권은 이번 동결 결정의 주요 원인으로 물가 불안을 꼽았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9%를 기록하며 3개월 만에 2%대로 떨어졌다. 하지만 한은의 목표수준(2%)과는 여전히 거리가 있고, 국제유가와 농산품 가격 등의 불확실성도 높은 상황이라 섣불리 금리를 낮출 경우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

 

또한 1분기 경제성장률이 반도체 수출 호조세와 내수 회복 등에 힘입어 예상치를 뛰어넘는 1.3%를 기록했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생각보다 경기가 호조세를 보이는 만큼 금리를 낮출 이유가 사라진 것. 

 

한은은 이날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1%에서 2.5%로 상향 조정했다.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2.3%에서 2.1%로 낮췄으며, 올해와 내년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기존과 동일한 각각 2.6%, 2.1%를 기록할 것으로 봤다.

 

환율 흐름 또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미국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지고 이란과 이스라엘의 충돌이 발생하면서 한때 1400원까지 올랐던 원·달러 환율은 여전히 1360원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다음 달에는 통방회의가 열리지 않는 만큼, 기준금리 인하 시점은 올해 하반기로 밀리게 됐다. 특히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이 금리 인하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는 만큼,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도 불투명해졌다. 대다수의 채권 전문가와 시장 참가자들은 오는 10월 첫 금리 인하를 예측하고 있다.

 

 

이창용 총재는 이날 통방회의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하반기 금리 인하 기대가 있지만, 물가 상방 압력을 받고 있다"며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 커진 상황으로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금통위원들의 3개월 후 금리 전망에 대해서는 "한 분은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금리가 낮아질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고 나머지 다섯 분은 3개월 후에도 3.5%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라고 전했다.

 

이어 "유지 의견은 물가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기 때문에 물가가 목표 수준(2%)으로 수렴할 때까지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며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자는 의견은 내수 회복세가 상대적으로 완만할 것으로 보이고 물가상승률도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통화 정책 파급 시차를 고려하면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했다"고 부연했다.

 

성장률은 올렸지만 물가 수준은 유지한 것과 관련해서는 "성장률 제고의 4분의 3이 물가 영향이 크지 않은 순수출 증가에 기인했는데, 순수출 증가는 내수보다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며 "소수점 첫째 자리를 변경해 전망 자체를 바꿀 정도로 물가가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또한 "하반기 월평균 상승률 전망치를 2.3%에서 2.4%로 변경했다"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3∼2.4%로 내려가는 트렌드가 잘 확인되면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금리 인하 폭에 대해서는 금통위원간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