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판교테크노밸리에 선도적 AI기술 연구개발을 할 수 있는 AI시티를 조성하고 북수원테크노밸리를 구축해 AI지식산업벨트를 잇는다.
또 AI기술을 활용해 경기도 누리집에 대화형 정보를 제공하고 취약계층 대상 안부확인, 건강관리 등 도민 생활 밀착 서비스에도 AI를 도입할 예정이다.
도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형 인공지능: 기회와 변화’ 비전을 발표하고 민선8기 후반기 동안 AI 관련 7대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7대 프로젝트는 ▲판교 AI시티 조성 ▲대한민국 AI 국제영화제 개최 ▲360도 AI 플러스 돌봄 ▲경기 AI 에이전트 AI 경기人 서비스 제공 ▲AI클러스터 조성 ▲AI지식산업벨트 구축 ▲(가칭)AI 혁신센터(4차산업혁명센터) 조성 등이다.
도는 7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경기형 AI를 확립해 도민 체감형 AI 서비스 확대와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먼저 판교테크노밸리에 AI기술개발과 산업육성을 위한 거점 역할을 수행할 ‘판교 AI시티’를 조성한다.
판교 AI시티에서는 수도권에 없는 헬스케어 데이터 등 민감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AI기술 안심존’을 관련기관과 함께 구축한다.
도는 다양한 산업 분야의 AI기업 육성을 위해 AI기술 실증, AI 비즈니스 모델 컨설팅, 도내 공공인프라 활용 AI서비스 창출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현재 운영 중인 경기 AI캠퍼스를 활성화해 AI 전문가, 빅테크 기업과 연계한 기업 실무형 AI 전문인력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생성형 AI를 활용한 창작 활성화를 위해 ‘대한민국 AI 국제영화제’도 개최한다. 행사는 영화제와 전문 포럼으로 구성되는데 다음 달 25일 킨텍스에서 첫 영화제를 열 예정이다.
도는 AI를 활용한 취약계층 돌보미 사업인 ‘360도 AI 플러스 돌봄’을 통해 ▲AI 기반 고독사 예방·대응 서비스 ▲발달장애인 AI돌봄서비스 ▲AI 건강돌봄 등 생활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아울러 사용자에게 맞춤 정책정보를 제공하는 AI 챗봇인 ‘경기 AI 에이전트 AI 경기人’ 서비스도 운영한다.
도는 내년 챗봇을 개발해 경기도 누리집에 시범 서비스를 제공하고 검색 순위가 높은 고시·공고 정보와 복지 정책을 우선으로 대화형 서비스를 도입·확대할 계획이다.
이밖에 AI 스타트업을 위한 창업공간·교육·기술 실증을 제공하는 ‘AI 클러스터’, AI 기반 IT·반도체·모빌리티 등 미래산업을 도내 산업단지와 연결한 ‘AI 지식산업벨트’도 구축한다.
이를 통해 도를 대한민국 인공지능 지식산업의 수도로 육성할 계획이다.
도와 세계경제포럼(WEF) 협력 협약을 통한 ‘(가칭)AI 혁신센터(4차산업혁명센터)’의 설립도 추진한다.
기술혁명 시대에 대비해 민관협력을 통한 최적 대응 및 양극화 방지를 목표로 하고 첨단 정보력과 글로벌 역량이 부족한 도내 스타트업·중소·중견기업 등을 집중 지원할 예정이다.
김현곤 도 경제부지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인 인공지능 기술을 도정에 적극 도입해 도민 삶의 질을 높이고 도의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며 “도민 모두가 AI 기술의 혜택을 고르게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이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