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8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오세훈의 온고지신] 나쁜 정치는 전쟁을 일으킨다

 

최근 국방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계엄과 전쟁에 관한 공방이 뜨거웠다. 이 논쟁에 국민의 힘 한기호 의원(3선)의 문자메시지가 기름을 부었다. 그는 "우크라이나와 협조가 되면, 북괴군부대를 폭격, 미사일타격을 가해서 피해가 발생하도록 하고, 이 피해를 북한에 심리전으로 썼으면 좋겠다"는 문자메시지를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에게 보냈다. 신실장은 "잘 챙기겠다. 오늘 긴급대책회의 했다"고 답했다. 소름끼친다.

 

 

‘조일 7년전쟁’(임진왜란.1592~1598)이 끝난 뒤 서울의 모습은 눈뜨고 볼 수 없는 지옥이었다. "전쟁이 끝난뒤 흉년에 염병까지 돌아 수구문(水口門. 지금의 광희문) 밖에 버리는 시체가 산을 이뤘다. 그것을 처리하는데 1년이 넘게 걸렸다. 황소 한 마리값이 쌀 서말, 무명 한 필에 좁쌀 두서너 되에 지나지 않았다. 사람 죽으면 달려들어 그 살을 뜯어먹었다. 왜군은 지놈들 필요한 모든 걸 약탈하고, 명군(明軍)은 전국의 소 돼지 개 닭을 다 잡아먹었다. 술 취한 명군이 토악질을 하면 다투어 핥아먹고, 약한 놈은 그것도 못먹어 울부짖었다." 함석헌의 '뜻으로 본 한국역사' 중 조선편 한 대목이다.

 

어느 시대 어느 대륙에서든 전쟁이 끝나면, 장삼이사 씨알들은 우선 비를 피할 수 있도록 집을 손볼 것이다. 엉성하게나마 집집이 부엌을 이룩하여 솥을 걸고 불을 지펴서 초근목피(草根木皮)로 죽이라도 끓일 것이다. 폭격맞은 마을이 예전의 모습을 회복하는 데는 30년쯤 걸리겠지만, 살아남기 위하여 심지어 어린 자식을 버린 피난길의 그 독한 '짐승'을 망각하는 것은 죽는 날까지 가능치 않을 일이다.

 

다대한 인명을 잃고, 그 과정에서 인간으로서 할 수도, 해서도 안되는 짓들을 무수히 저지르고서 살아남은 자들은 다행스러워하기는 커녕, 그래서 삶이 곧 저주임을 깨닫는다. 포탄이 폭우처럼 쏟아지고, 바로 옆 멀쩡하던 친구의 머리통이 분쇄되는 걸 보면서 지나온 그 참혹한 시간 동안, 최소한의 품위를 지킨 자 누구인가. 더러운 정치세력 말고는 단연코 없다.

 

 

"정치인은 전쟁을 시작하고, 사업가들은 무기를 팔아먹고, 가난한 사람들은 자식을 제공한다. 전쟁이 끝나면 정치인들은 웃으면서 악수하고, 장사치들은 생필품 가격을 올리고, 가난한 부모들은 자식의 무덤을 찾아서 통곡한다." 30년 전 내전으로 지옥을 겪은 세르비아 사람들이 하는 말이라고 한다. 경전에 올려야 할 어록이다.

 

전쟁은 지옥으로 들어가는 문이다. 우리는 지금 나쁜 정치의 악의(惡意)와 사악함에 이끌려 그 문앞으로 걸어가고 있다. 손을 뿌리칠 수도, 도망칠 수도 없다. '전쟁론'의 저자 클라우제비츠는 "전쟁은 다른 수단으로 벌이는 정치"라고 말했다. 나쁜 정치의 최악은 전쟁이다. 그 전쟁에서 죽지 않고 살아남은 민초들의 일상은 고통이다. 모욕이다.

 

 

미국 대통령 선거가 트럼프의 승리로 끝났다. 누가 이기더라도 우리는 미국의 식민지 신세를 벗어나기 어렵다. 나는 그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려고 한다는 점을 귀하게 여겨 그의 당선을 반긴다.


네티즌 의견 15

스팸방지
0/300자
  • 징기스 안
    • 2024-12-26 07:25:26
    • 삭제

    세상을 살아가면서 우리는 수없이 많은 선택을 강요당하며 살아간다.
    국가와 민족의 명운을 좌지우지 할 지도자의 선택,
    나와 가족의 내일을 의탁할 선량, 혹은 지방수령의 선택, 의무교육을 마친 후 필연적으로 거치는 상급학교의 선택, 성인으로서 필필연적으로 거쳐야 할 배우자의 선택, 지나고보면 어느 하나 소홀해선 안될 선택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순간의 유혹과 치기에 휩쓸려 해서는 안 될 잘못된 선택을 한 후, 수년, 혹은 10여년 넘는 시간을 때로는 자책하고, 때로는 반성하며 지난 세월을 살아왔을것이다.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 정신차리자

  • 돈키호테
    • 2024-11-10 22:26:32
    • 삭제

    굥메뙈지는 탄핵을 피하고,범법에 대한 처벌이 두려워 계엄및 전쟁을 획책하고 있슴에 경각심을 가져야할 것입니다.

  • Ody
    • 2024-11-10 09:54:05
    • 삭제

    어린 자식을 못지키고
    다 큰 자식을 잃고 울부짖던 세대가
    서서히 사라져 지지세력이 약화되니
    다시 전쟁을 획책하는 군요.

  • 영희
    • 2024-11-08 17:12:24
    • 삭제

    선생님의 귀한 글 잘 읽었습니다.
    어눅하고 어지러운 세상밭 선생님의 글은 힘이 됩니다.늘응원합니다

  • 미스터선샤인
    • 2024-11-08 15:27:02
    • 삭제

    전세계의 극우화. 너무 불안한 상황입니다
    국힘좀비들이 더 날뛰게 생겼네요

  • 공풍
    • 2024-11-08 15:13:30
    • 삭제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기를 소망합니다.

  • 조은새
    • 2024-11-08 13:11:16
    • 삭제

    전쟁에는 선악이 없다. 그나름의 이유는 있겠으나 인명이 죽어나가는 것을 생각하면 전쟁은 있어서는 곤란하다. 그러나 전쟁은 현실이고 이스라엘이 바보라서 전쟁을 지속하는 것은 아닐것이다. 이데올로기로 인해 우리국민 수백만명이 살상당한 적이 있기에 본질적 전쟁을 막기위한 고민이 필요할 때다

  • 전쟁은 안되
    • 2024-11-08 11:58:55
    • 삭제

    전쟁을 해야한다고 이북놈들 어쩌구 하는 노털에게 당신 아들을 전쟁에 보내겠느냐 하니까 입을 다물더군요.
    선동하는 악랄한 놈들도 있지만 이땅의 전쟁을 남의 일, 구경하는 일로 생각하는 바보들이 많아요.
    좋은 말씀 잘 봤습니다.

  • 신상철
    • 2024-11-08 10:57:06
    • 삭제

    시궁창(요즘 시대 상황)에서 장미꽃이 피어난 것 같이
    한강 작가가 노벨 문학상을 받았습니다.
    요즘 그녀의 작품에 빠져 과거부터 지금까지 소위 지배계급에 속하는 것들이 저지른 전쟁과 무고한 백성들데 대한 만행
    을 가슴 절절하게 느끼고 있습니다.
    문학은 서사로 오선생님과 같은 분들은 역사적 사실로
    과거의 진실을 퍼올려 다시는 그러한 과오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위대한 사람들이라는 생각이 들어가지요
    어제 대 국민 담화라는 걸 조금 지켜보다가 하도 한심해서 그만 보지도 않던 티비 앞을 떠버렸습니다.
    언제나 국민이 웃는 날이 올지요

  • 대청마루
    • 2024-11-08 10:51:25
    • 삭제

    접경국가인 우크라이나는 중립이 지켜야하는데 대통령 지지율이 떨어지자 젤렌스키가 러시아에 강경정책으로 지지율을 회복했습니다.
    하지만 초보 대통령과 극단적인 일부 국민들이 전쟁을 초래했고 10만명 이상이 전사했고 국토는 황폐화 되었습니다.
    2년이 지난 지금도 전쟁이 끝나지 않고 전쟁은 전사할 자식들을 더 원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숟가락 얹으려는 우리나라 정치인들 정말 소름이 끼칩니다. 우리가 깨어있어야 합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