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1회용품 줄이기 종합대책을 통해 공공과 민간 부문을 아우르며 정부와 타 지자체를 선도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5일 도에 따르면 도는 올해 ▲경기도청사 및 공공기관 1회용품 반입금지 ▲1회용품 없는 특화지구 조성 ▲장례식장, 스포츠경기장 등 다회용기 사용 지원 등 공공·민간을 넘나드는 1회용품 줄이기 정책을 추진했다.
먼저 공공부문에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도청사 내 1회용품 사용·반입금지 정책을 이어갔다.
도 남·북부청사, 인재개발원 내 입점 카페에는 다회용컵을 도입했으며, 남부청사 주변 카페 8곳과 배달음식점 90곳에도 다회용기 사용을 지원했다.
도 산하 공공기관에서도 1회용품 사용·반입을 금지했으며, 지난 10월까지 각 기관이 주최한 101개의 축제·행사에서도 1회용품을 사용하지 않았다.
민간부문에서는 1회용품 없는 특화지구를 조성하고 장례식장, 스포츠경기장, 지역축제 등에 다회용기 사용을 지원하고 있다.
도는 오는 2026년까지 도비 총 30억 원을 투입해 부천·안산·광명·양평 등 4개 시군 5곳에 1회용품 없는 특화지구를 조성한다.
지난 10월 기준 도내 163개 업소에서 추진 중으로, 양평군은 세미원 관광지를 중심으로 1회용품을 획기적으로 감량하고 친환경 탄소중립 테마 관광지구를 육성 중이다.
부천시는 가톨릭대학교·부천대학교·서울신한대학교·유한대학교 등 4개 대학캠퍼스를 중심으로 대학생 서포터즈를 구성해 1회용품 지양 문화를 확산하고 있다.
안산시는 샘골로 먹자골목 상인회 및 주민과 협력해 1회용품 없는 거리만들기를 추진 중이며, 광명시는 무의공 음식문화거리, 광명사거리 먹자골목 등 2곳에 다회용기 기반시설을 설치했다.
도는 이같은 특화지구 조성으로 3년간 1회용품 1130만 개 사용을 저감해 약 629t 탄소배출 저감효과가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이밖에 수원 KT위즈파크, 지역 대표 축제, 도내 배달음식점 및 장례식장 등에 다회용기를 보급해 지난 9월 기준 1회용기 178만개를 대체, 온실가스 86t을 감축했다.
차성수 도 기후환경에너지국장은 “1회용품 줄이기는 단순한 환경정책을 넘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중요한 변화”라며 “도가 앞장서서 실질적인 변화를 이뤄냄으로써 대한민국 전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이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