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1일 맹성규 국회 국토교통위원장을 예방해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6~2035년)’에 경기도의 신규 사업이 대거 반영될 수 있도록 지원을 요청했다.
도는 현재 고속철도 3개, 일반철도 8개, 광역철도 29개 등 40개 노선사업안이 국토부에 제출된 상황에서 해당 사업들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민석 도 대변인은 이날 대변인 브리핑을 통해 “김 지사는 맹 위원장을 찾아 ‘GTX 플러스와 경기남부광역철도를 비롯해 최대한 많은 사업이 제5차 국가철도망에 포함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강 대변인은 “이번 5차계획을 앞두고 정부는 지난 3~4때와는 달리 이미 제출한 40개 사업 중 우선 순위 3개만 적어내라는 이상한 요구를 했다”며 “도는 국토교통부의 무리한 요구에 거절하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결국 ‘전략적’으로 응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기남부광역철도는 경제성(B/C)가 뛰어나 상위 3개에 포함시키지 않아도 5차 계획에 들어갈 것이라고 봤다”며 “우선 순위 1~3위가 중요한 사업 순위를 뜻하는 것이 아니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도가 제출한 40개 사업 중 3순위까지만 5차 계획에 들어갈 것이라는 우려도 있으나 도는 이미 3~4차 계획 당시 각각 16개, 21개 사업을 관철시킨 바 있다”며 “안전장치를 마련하기 위해 김 지사가 직접 맹 위원장을 예방해 더 많은 사업이 채택되도록 협조를 요청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 대변인은 “김 지사 공약인 GTX 플러스 노선만 1~3순위로 제출한 것처럼 일각에서 비난하는 것은 음해나 다름없다”며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은 10년 단위로 계획을 수립하는 중차대한 계획이다. 철도마저 정치화해선 안 된다”고 역설했다.
한편 최근 도내 일부 시군 지자체장들은 도가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사업에 김 지사 공약인 GTX 플러스 사업을 우선 반영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도는 지난달 27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은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이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