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3일 국회에서 신년 기자간담회를 열고 모두발언을 통해 실용주의에 방점을 찍은 경제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자신의 대표 정책브랜드인 ‘기본소득’과 사실상 대치되는 주장으로, 국정 운영 공백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조기대선을 고려한 지지층 확대 행보로 풀이된다.
이 대표는 “탈이념·탈진영의 현실적 실용주의가 위기 극복과 성장 발전의 동력”이라며 “새로운 성장이 진정한 민주공화국, 함께 사는 세상의 토대가 될 것”이라고 당부했다.
그는 “기업의 성장발전이 곧 국가경제의 발전이다. 민간 주도 정부 지원의 시대로 전환해야 한다”며 기업 활동의 장애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주식시장 선진화·활성화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효율적 경영을 방해하는 비정상적 지배 경영 구조 혁신과 뚜렷한 경제산업 비전제시가 필요하다”고 했다.
AI(인공지능)와 관련해선 “AI를 위한 반도체, 로봇 작동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가 미래 먹거리가 될 것”이라며 “바이오, 신약,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에서 밀려나지 않도록 적극적인 국가역할이 필요하다”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체제가 본격화됨에 따라 “현실화되는 관세,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반도체법(CHIPS)의 불확실성에 따라 수출기업이 입을 불이익이 최소화되도록 각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미 존재하는 불평등과 양극화를 해소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지만 성장 기회도 결과도 함께 나누는 공정성장이야말로 실현가능한 양극화 완화와 지속성장의 길”이라고 힘줘 말했다.
이후 이어진 질의응답에서 이 대표는 “지금은 나누는 문제보다 만들어가는 과정이 더 중요한 상황”이라며 기본소득 정책 재검토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국민의힘은 이와 관련해 “이중언어를 양심 없이 쓰는 사람을 사기꾼 이라고 부른다”며 “이 대표의 말 바꾸기는 상습적”이라고 맹폭했다.
조용술 국민의힘 대변인은 이날 오후 논평을 내고 “어제 민주당이 전북에서 기본소득 실험을 시작한다고 발표한 직후 나온 이 발언(기본소득 재검토)은 말 그대로 이 대표의 말은 믿을 수 없고, 국민을 조롱한다는 것을 재확인시켜 주는 것”이라며 이같이 비판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