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영업이익이 90% 감소하는 등 어려운 시간을 보냈던 카카오게임즈가 올해 10종 이상의 신작 출시를 예고하고 실적 개선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돌입한다.
카카오게임즈는 지난해 매출 7388억 원, 영업이익 65억 원을 기록했다. 각각 전년 대비 27.9%, 91% 감소한 수치다. 순손실은 1210억 원을 냈다.
카카오게임즈 실적이 악화한 것은 기존 라이브 서비스의 안정화, 신작 부재 및 마케팅 비용의 증가, 흥행작 부재 등이 영향을 미쳤다. 특히 지난해 4분기 카카오게임즈가 부진한 실적을 낸 것이 연간 실적 부진에 크게 작용했다. 지난해 4분기 카카오게임즈는 영업손실 63억 원, 순손실 1023억 원을 내며 적자전환했다. 매출 역시 160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3% 줄어들었다.
카카오게임즈는 지난해 3분기 세나테크놀로지 지분 일부 매각에 따른 연결 제외, 카카오 VX 일부 사업 철수 등의 요인을 중단영업손익으로 반영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지난해 말 출시된 패스 오브 엑자일 2 실적의 이연 회계처리 역시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크게 줄어든 매출과 영업이익 개선을 위해 카카오게임즈는 올해 10종 이상의 신작을 선보인다는 의지다. 이중 2개 작품 빼고는 모두 자체개발작인 것도 특징이다. 카카오게임즈는 다양한 플랫폼과 장르 기반 게임 출시를 통해 적극적인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고 매출 다각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현재 카카오게임즈가 올해 안으로 출시를 예정하고 있는 신작은 총 8개다. 작품명이 알려진 가디스오더, 크로노 오디세이를 포함해 야구 시뮬레이션 게임, 액션 로그라이트, 서브컬처, SM 아이돌 IP 활용 캐주얼 게임까지 다양한 장르에 도전한다. 아키에이지 크로니클을 포함한 3종은 내년 출시를 목표로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이처럼 카카오게임즈가 다양한 장르에 도전하는 이유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글로벌 게임 시장을 두루 공략하겠다는 목표와도 맞닿아있다. 지역별로 선호 게임 장르가 다양한 만큼, 각 권역에 맞는 게임을 선보여 다수의 흥행작을 만들어내겠다는 의지다.
카카오게임즈는 우선 북미권을 포함한 서구권 게임 이용자를 메인 타깃으로 하고, 중국, 일본, 동남아 등을 두루 공략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모바일, PC, 콘솔 등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한다.
한상우 카카오게임즈 대표는 “내부적으로 외부 환경에 기민하게 대응하기 위한 발판을 다지고 있으며, 글로벌 이용자들을 타깃으로 한 PC온라인, 콘솔 등 멀티플랫폼 기반의 대작들을 올해 하나씩 공개해 나갈 것”이라며 “지금까지 쌓은 서비스 노하우를 기반으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이효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