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토)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현대차·삼성전자, ‘5G 특화망 레드캡’ 기술 실증 성공…스마트 제조 혁신 박차

다음 달 MWC25 바르셀로나 전시 예정

 

현대자동차와 삼성전자가 ‘5G 특화망 레드캡(RedCap)’ 기술 실증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며 스마트 제조 솔루션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달부터 삼성전자와 협력해 5G 특화망 레드캡 기술 실증을 진행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음 달 스페인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전자 박람회 ‘MWC25 바르셀로나(MWC25 Barcelona)’에 기술을 전시한다고 26일 밝혔다.

 

현대차는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서 전동화 전환 및 소프트웨어 중심 상품성 강화뿐 아니라 제조 기술의 스마트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와 선제적 기술 협력을 진행해 모빌리티 제조 분야에서 업계 최초로 5G 특화망 레드캡 기술 실증에 성공했다.

 

현대차는 올해 1월부터 삼성전자의 수원사업장 테스트베드에서 전용 기지국(Radio)과 통합관리시스템 등으로 구성된 5G 특화망 레드캡 인프라를 기반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현대차는 직접 설계한 완성차 검사 단말기를 활용해 공장에서 운용할 장비와의 통신 성능을 검증했다.

 

5G 특화망은 기업이 사내 또는 특정 구역 내에서 별도의 기지국과 통신 주파수를 활용해 구축하는 독립적인 통신 체계다. 외부 간섭이 없어 통신 단절이나 지연이 거의 없으며, 초고용량 데이터를 빠르게 송·수신할 수 있어 산업용 로봇이나 무선 장비를 효율적으로 중앙 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5G 특화망 레드캡 기술은 기존 5G 대비 단말 구성 단순화, 특화망 장비의 소형화, 제조 현장 환경을 고려한 주파수 대역폭 축소 등을 통해 저전력·저사양·저비용을 구현했다. 기존 와이파이(WiFi) 대비 5G 수준의 통신 속도, 데이터 처리 용량, 연결성을 확보하며 제조 공정에서 활용도를 높였다.

 

기존에는 자동물류로봇 등 고성능·고신뢰성이 요구되는 일부 장비에만 5G 특화망이 적용됐지만, 레드캡 기술 도입을 통해 제조 공정 전반의 다양한 장비까지 고속 무선통신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됐다.

 

현대차는 완성차 무인 자율검사 장비인 ‘디 스캔(D Scan)’에 레드캡 기능을 지원하는 퀄컴의 SDX35 칩셋을 탑재하고, 삼성전자의 5G 특화망 인프라와 연동해 고용량 차량 품질 검사 데이터를 신속히 송·수신하는 체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현대차와 삼성전자는 다음 달 3~6일 진행되는 ‘MWC25 바르셀로나’에서 삼성전자 전시 부스 내 특별 전시 공간을 마련해 주요 기업 고객 및 업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기술 검증 결과와 5G 특화망 레드캡 기술의 양산차 제조 공정 적용 사례를 선보일 예정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는 국내 업체 중 최초로 5G 특화망을 구축해 양산 적용했고, 나아가 제조 분야 업계 최초로 5G 특화망 레드캡 기술 실증에 나서는 등 글로벌 산업계에서 스마트 제조 솔루션을 선도해 나가고 있다”며 “5G 특화망 레드캡 기술의 상용화 준비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번 협력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국내 업체들이 상호 기술력을 결합해 최신 통신 기술인 레드캡을 특화망에 적용한 주요 사례”라며 “업계 최초로 단말기부터 통신장비까지 특화망 전체에 걸쳐 레드캡 기술을 실증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유즈케이스(Usecase)를 전세계에 선보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COVER STORY